
총 32개
-
고혈압약물간호2024.08.271. 서론 1.1. 고혈압의 정의 및 중요성 심장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혈액을 온몸에 보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며 이때 혈관 벽에 미치는 압력을 수치로 나타낸 것이 혈압이다. 수축기혈압이 이완기혈압보다 높으므로 혈압을 이야기할 때 120/80mmHg 중 앞의 120mmHg가 수축기혈압이며 뒤의 80mmHg가 이완기 혈압을 의미한다.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를 고혈압이라고 한다. 고혈압이 있다는 것은 혈액이 혈관을 통과하기 위해 심장이 더 힘든 운동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2024.08.27
-
삶에약이되는약이야기2024.09.031. 약이 하는 기능과 역사 1.1. 생체에 대한 영향 약은 인체의 정상적 생리과정과 생화학적 과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질병을 치료한다"이다. 약은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사멸시킴으로써 감염질환을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이다. 약물은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생화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쳐 생리적 기능을 변화시킨다"이다. 약물은 감염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면역 세포에 의한 제거 작용을 도와준다"이다. 또한 약물은 직접 감염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다"이다. 이처럼 약물은 생체 내 다양한 기전을 통해 질병의 예방, 진...2024.09.03
-
연령별 약물치료2024.08.291. 약물요법 시 고려사항 1.1. 약리학에서의 간호과정 1.1.1. 진통제 치료를 받는 환자의 진단 진통제 치료를 받는 환자의 진단에서 가장 큰 문제는 약물치료와 관련된 지식부족이다. 환자들은 진통제 투약의 중요성과 부작용에 대해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적절한 투약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아편유사진통제 사용 시 호흡 억제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지식 또한 부족한 편이다. 간호사는 환자의 지식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우선 투약 중요...2024.08.29
-
기립성 빈맥 간호중재2025.01.281. 기립성 빈맥 간호중재 1.1. 기립성 빈맥의 원인 기립성 빈맥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기립성 빈맥은 자세가 눕거나 앉아 있을 때에 비해 서 있을 때 심박수의 증가가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자율신경계의 조절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교감신경의 활성화로 심박출량이 증가하고 혈관이 수축하여 심박수가 올라가게 된다. 기립 시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보상작용으로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심박수와 혈압이 올라가는 것이다. 이는 기립성 저혈압을 예...2025.01.28
-
베타 차단제2025.04.021. 서론 1.1. 베타 차단제의 정의 및 작용기전 베타 차단제는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교감신경계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이를 통해 심박수 및 심근 수축력을 감소시켜 심장의 산소 요구량을 줄이고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타 차단제는 혈관을 확장시켜 말초 혈관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부하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작용기전을 통해 베타 차단제는 협심증, 심근경색증, 부정맥, 고혈압, 심부전 등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사용된다.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에는 베타1과 베타2가 있는데, 베타 차단제는 이들 수...2025.04.02
-
정신 약물교육2024.09.191. 정신질환자 약물 교육의 중요성 1.1. 약물 교육의 효과 약물 교육은 정신질환자의 증상 관리와 재발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다. 첫째, 정신질환자에게 질병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면 병식 향상과 더불어 약물 복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어 자발적인 약물 복용을 증진할 수 있다. 둘째, 약물 교육을 통해 정신질환자와 보호자가 약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부작용 관리와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져 약물 복용 순응도가 높아진다. 셋째, 질병과 약물에 대한 정확한 지식 습득은 정신질환자의 자긍심과 자기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며, 이는 재활을...2024.09.19
-
삶에약이되는약이야기2024.09.201. 약의 작용과 투여 1.1. 약이 하는 기능 약은 인체(생물)의 정상적 생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약은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생화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로 생리적 기능을 변화시킨다"". 약은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사멸시키는 기능도 한다"". 또한 감염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면역 세포에 의한 제거 작용을 도와주며, 감염 미생물을 직접 사멸시킬 수도 있다"". 그 밖에도 약은 면역 작용을 유발하거나 삼투압 등에 작용하여 생리적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 1.2. 역사를 바꾼 약 페니실린...2024.09.20
-
삶에 약이되는 약이야기2024.09.281. 약의 작용기전과 생리학적 영향 1.1. 약물의 생화학적 기전 약물의 생화학적 기전은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생화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약물은 세포 내부의 효소 활성, 이온 이동, 유전자 발현 등에 작용함으로써 세포의 정상적인 생리 과정을 변화시킨다. 약물은 주로 세포막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한다. 수용체에 결합한 약물은 세포 내부의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하거나 억제함으로써 세포의 기능을 조절한다. 일부 약물은 세포막을 직접 통과하여 세포 내부의 타깃에 작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편...2024.09.28
-
약리학2024.10.051. 약리학의 기초 1.1. 약리학의 정의와 역사 약리학은 약물이 나타내는 생물학적 효과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약동학과 약력학을 포함한다. 약동학은 약물이 인체 내에서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연구하며, 약력학은 약물이 어떻게 생체에 작용하는지를 연구한다. 약리학의 역사는 질병 치료를 위해 약물을 사용하려는 노력에서 시작되었다. 기원전 3000년경 바빌로니아인들은 이미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치료하였고, 기원전 2700년대 중국, 기원전 1500년대 이집트에서도 약초를 이용한 치료법이 기록되었다. 1693년 영국의 Samuel Da...2024.10.05
-
약리학2024.10.311. 약리학 개요 1.1. 약리학의 정의와 범위 약리학은 약물이 나타내는 생물학적 효과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약리학은 약동학과 약력학으로 구분된다. 약동학은 인체 내에서 약물의 활동, 즉 흡수, 분포, 대사, 배설을 연구하는 분야이며, 약력학은 약물이 어떻게 생체의 기능을 변화시키는지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약리학의 범위는 제약기, 약동학기, 약력학기로 나뉜다. 제약기는 약물이 고체에서 액체로 용해되는 과정을 다루고, 약동학기는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을 연구하며, 약력학기는 약물이 생체에 미치는 작용을 분석한다. 따라서 ...2024.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