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다제약물 복용2024.09.181. 노인의 약물, 음주, 흡연 1.1. 노인의 약물 사용 1.1.1. 노인의 자기투약 및 약물 남용 노인의 자기투약 및 약물 남용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인들 중 66~81%가 약을 복용하고 있으며, 한 달 평균 복용하는 약물의 개수가 20.5개에 이른다. 또한 노인의 50%가 32종 이상의 약물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노인들은 복합적인 만성질환으로 인해 다수의 약물을 장기간 복용하게 되는데, 이는 약물의 부작용과 상호작용 위험을 증가시킨다. 실제로 노인 입원 환자의 15~20%, 응급실 방문의 11...2024.09.18
-
Vasopressor inotropics 최소용량및 효능 효과 작용기전2024.09.271. 응급약물과 간호 1.1. 응급 약물 1.1.1. Dopamine Dopamine은 강력한 카테콜아민계 약물로, 교감신경 수용체인 α와 β 수용체에 작용하여 다양한 생리학적 효과를 나타낸다. 저농도에서는 주로 β1 수용체 자극작용으로 심장 수축력을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높이고, 고농도에서는 α 수용체 자극작용으로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 또한 신장혈류량과 나트륨 배설을 증가시키는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응급 상황에서 저혈압 치료에 널리 사용된다. Dopamine의 주요 적응증은 내독성 패혈증, 심근경색증, 심장 ...2024.09.27
-
약리학 총론 정리2024.10.211. 약리학 총론 1.1. 약리작용의 종류 약리작용의 종류에는 흥분작용과 억제작용, 직접작용과 간접작용, 전신작용과 국소작용, 일반작용과 선택작용, 주작용과 부작용이 있다. 흥분작용은 생체가 본래 가지고 있는 기능이 증강되거나 촉진되는 것을 말하고, 억제작용은 기능이 저지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직접작용은 투여된 약물의 작용 중 그 물질이 생체에 직접 작용하여 초래되는 효과이고, 간접작용은 직접작용의 효과에 의해 다른 효과도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전신작용은 약물이 전신으로 흡수되어 전신순환을 거쳐 모든 조직, 장기에 대해 ...2024.10.21
-
수술실 약물2024.11.141. 마취제 1.1. 전신마취제 1.1.1. Etomidate Etomidate는 20mg/10cc 용량으로 가장 최근에 개발된 전신마취제이다. 이 약물은 작용 기전상 acetylcholine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유리를 억제하여 GABA 작용을 증가시킴으로써 교감신경계의 신경전달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tomidate는 신속한 작용 발현과 함께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에 대한 억제 작용이 거의 없어 마취 유도에 매우 적합한 약물이다. 정맥 내 투여 후 약 15-30초 내에 뇌와 심장 등에 빠르게 확산되어 의식을 잃게 되...2024.11.14
-
조선대 삶에약이되는약이야기2024.10.171. 백신의 작용 원리와 유형 1.1. 전통적 백신의 작용 원리 인체의 면역계는 병원체에 대응하여 항체를 만든다. 한번 항체가 형성되면 같은 병원체에 대해서는 면역이 형성되게 한다. 백신은 독성을 약화시킨 병원체를 체내에 주입해 항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항체가 형성되면 실제 독성을 지닌 병원체가 침입했을 때 빠르고 효율적으로 면역체계가 이에 반응할 수 있게 된다. 전통적 백신 플랫폼은 생백신과 사백신이다. 천연두가 대유행이었던 18세기 말, 영국의 과학자 '제너'는 우두(소의 천연두) 균을 한 소년에게 주입한 후, 시간이...2024.10.17
-
마취과 마약2024.09.091. 마취 관련 약물 1.1. 흡입마취제 1.1.1. Sevoflurane Sevoflurane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할로겐화 마취가스이다. 낮은 혈액-가스 용해도를 가져 마취로부터의 회복이 빠르고, 호흡기계 및 순환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어 안전성이 높은 편이다. Sevoflurane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하여 진통, 의식소실, 근이완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용해도가 낮아 뇌로의 유입과 배출이 빠르기 때문에 마취 유도와 회복이 신속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 신장 혈류량에 미치는 영향도 적어 이들 장기에 대한 영향...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