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약리학문제풀이2024.09.211. 약리학의 개념과 항균제 1.1. 약리학의 학문적 범위와 약물의 명명 약리학의 학문적 범위와 약물의 명명은 다음과 같다. 약리학은 약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그 작용기전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약리학의 분야로는 약물동력학(pharmacokinetics)과 약물역학(pharmacodynamics)이 있다. 약물동력학은 약물이 투여된 후 흡수, 분포, 대사, 배설되는 과정을 연구하는 분야이며, 약물역학은 약물의 작용기전과 약물의 치료적 효과 및 부작용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또한 임상약리학은 인체를 대상으로 약물의 효과와 안전성...2024.09.21
-
약리학2024.10.051. 약리학의 기초 1.1. 약리학의 정의와 역사 약리학은 약물이 나타내는 생물학적 효과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약동학과 약력학을 포함한다. 약동학은 약물이 인체 내에서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연구하며, 약력학은 약물이 어떻게 생체에 작용하는지를 연구한다. 약리학의 역사는 질병 치료를 위해 약물을 사용하려는 노력에서 시작되었다. 기원전 3000년경 바빌로니아인들은 이미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치료하였고, 기원전 2700년대 중국, 기원전 1500년대 이집트에서도 약초를 이용한 치료법이 기록되었다. 1693년 영국의 Samuel Da...2024.10.05
-
약리학 문제2024.10.151. 약물의 작용 1.1. 약물의 분류 및 특징 약물은 그 특성과 작용 기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우선, 약물은 작용 부위에 따라 크게 중추신경계 작용 약물, 자율신경계 작용 약물, 말초신경계 작용 약물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중추신경계 작용 약물에는 불안 및 수면장애 치료제, 기분장애 치료제, 정신병 치료제 등이 포함되며, 자율신경계 작용 약물에는 교감신경계 약물과 부교감신경계 약물, 항콜린성 약물 등이 속한다. 또한 약물은 화학 구조에 따라 구분되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아편성 진통제,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페놀...2024.10.15
-
기본간호학 투약 문제2024.10.141. 투약의 기본 이해 1.1. 약리학의 기본 이해 1.1.1. 약물의 약동학적 특성 약물의 약동학적 특성은 약물이 체내에서 흡수, 분산, 대사, 배설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약물의 약동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약물의 흡수는 약물이 체내로 들어가 혈류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이다. 약물은 경구투여 시 위장관을 거쳐 흡수되거나 주사제 투여 시 주사부위에서 직접 혈관 내로 흡수된다. 약물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약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생리적 요인, 투여경로 등이 있다. 둘째, 약물의 분산은 혈류로 들어간 약물이 신...2024.10.14
-
호흡기 및 순환기계 약물2024.09.031. 약리학의 개념 및 분류 1.1. 약리학의 개념 약리학은 약물의 기원, 물리 화학적 성질, 생체에 대한 작용과 기전, 부작용과 독성, 용법 용량 및 약물의 생체내 운명인 흡수, 분포, 대사, 배설 등 치료적인 기본지식과 임상에서의 응용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약물은 인체나 동물의 질병의 예방진단, 치료, 경감의 목적으로 쓰이는 화학적 물질이다. 약리학은 활용에 따라 실험 약리학, 치료 약리학, 약물 동력학, 약물 작용학, 임상 약리학, 약물 유전학, 독물학으로 분류된다. 실험 약리학은 동물의 조직, 장기, ...2024.09.03
-
식약처 의약품 안전 관리과 직무수행계획2024.08.291. 약사의 사회적 활동 1.1. 지역약사(개국약사) 지역약사(개국약사)는 의약품, 의약외품 및 의료용구의 제도, 조제, 감정, 보관, 수입, 판매와 기타 약학 기술에 관련된 사항을 담당하도록 규정된 약사이다. 약사만이 의약품을 조제할 수 있도록 명시되어 있으며, 의약품뿐만 아니라 의료용구의 제조와 판매에도 권한이 있다. 1989년 7월 전 국민 의료보험 제도가 실시되었고, 1989년 10월에는 현행 관행을 보험에 수용하는 방식의 약국의료보험 제도가 재정되었다. 이에 따라 양국에서 약사에 의해서 처방 조제된 의약품에 대해 보험 ...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