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개
-
시멘트 몰탈비2024.09.161. 시멘트의 제조방법 1.1. 시멘트 제조 공정 1.1.1. 채광 및 조쇄 시멘트 제조 공정 중 '채광 및 조쇄'는 시멘트 생산의 첫 단계로, 시멘트 제조에 필요한 주원료인 석회석을 채굴하고 부수는 과정이다. 먼저 시멘트용 석회석이 매장되어 있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채굴법을 선택하여 석회석을 채굴한다. 채굴된 직경 30cm부터 2m까지의 큰 석회석 덩어리는 1차, 2차, 3차 조쇄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직경 2.5cm 이하의 크기로 부서진다. 이는 원료 혼합과 분쇄 과정에서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즉, 채광 및 조...2024.09.16
-
석고와 혼수비에 따른 경화시간비교2024.09.211. 치과용 석고의 종류와 특성 1.1. 석고의 제조 과정 석고는 대부분 자연에서 얻어지는데, 석고는 황산칼슘의 이수형태(CaSO4·2H2O)이다. 석고를 가열하면 2몰의 수분 중 1.5몰의 수분을 잃고 반수석고(CaSO4·1/2H2O)로 변환된다. 이렇게 제조된 반수석고를 물과 혼합하면 역반응으로 반수석고가 다시 이수석고(CaSO4·2H2O)가 된다. 반수석고를 물에 녹이면 포화용액이 되고, 계속하여 석고를 녹이면 용액이 과포화되어 이수석고가 침전하게 된다. 이수석고의 용해도는 반수석고보다 4배 이상 낮기 때문이다. 이렇게 ...2024.09.21
-
철근콘크리트구조2024.09.211.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정의와 특징 1.1. 철근콘크리트(RC)의 정의 철근콘크리트(RC)란 압축강도는 높지만 인장강도가 아주 낮은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콘크리트가 부족한 인장강도를 보충하는 보강철근(reinforcing steel bars)의 합리적인 결합체이다. 즉, 철근과 콘크리트가 일체가 되어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는 구조로 일체식구조 또는 라멘조라고도 한다. 1.2. 철근과 콘크리트의 특성 및 조합 가능성 철근과 콘크리트의 특성 및 조합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철근콘크리트(RC)는 압축강도가 높지만 인장강도...2024.09.21
-
배합설계 배합강도 24mpa 슬럼프 150mm 공기량 4,52024.10.041. 콘크리트 배합설계 및 압축강도 시험 1.1. 콘크리트 배합설계 1.1.1. 사용재료의 물리적 성질 사용재료의 물리적 성질은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번 실험에서 사용된 재료는 다음과 같다. 시멘트는 비중 3.15 g/cm³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잔골재는 비중 2.90 g/cm³의 모래를, 굵은 골재는 비중 2.71 g/cm³의 부순돌을 사용하였다. 잔골재의 조립률은 2.15로 측정되었다. 골재의 물리적 성질은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워커빌리티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시멘트...2024.10.04
-
도함수의 활용 건축물 강도2024.10.071. 골재의 함수상태 1.1. 함수의 개념 골재의 함수는 쉽게 말해서 골재가 가질 수 있는 수분의 양을 의미한다. 절대건조상태에서부터 표면건조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흡수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을 함수라고 한다. 건조된 골재는 물과 만나면 처음에는 급격하게 수분을 흡수하지만,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수분 흡수가 점차 완만해지다가 어느 시점이 되면 더 이상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다. 엄밀한 의미에서는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흡수할 수 없을 정도로 수분을 많이 머금은 상태가 된 것이다. 골재의 흡수량은 입자의 빈틈 사이에 포함된 ...2024.10.07
-
콘크리트 제품의 특성을 설명하여라2024.10.241. 고강도 콘크리트의 특성 1.1. 고강도 콘크리트의 정의 고강도 콘크리트는 보통 콘크리트보다 강도가 높은 것을 말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의는 각 국가마다 다르다. 미국 콘크리트학회(ACI) 고강도 콘크리트 분과위원회에서는 1984년에 보통중량 콘크리트는 42MPa, 경량 콘크리트는 28Mpa 이상을 고강도로 분류했다. 최근에는 보통중량의 콘크리트는 구조용 콘크리트 최소강도로 21MPa을 설정하고 있으며, 고강도 콘크리트는 42MPa 이상으로 사용압축강도의 상한선을 두고 있지 않다. 보통중량 콘크리트로서 압축강도 105MPa...2024.10.24
-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배합설계2024.10.081. 콘크리트 1.1. 콘크리트 개요 콘크리트는 가장 보편적이고 많이 사용되고 있는 건축 재료이며, 목재, 강재, 석재와 더불어 구조용 재료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재료이다. 시멘트, 배합수, 잔골재 및 굵은골재 그리고 필요에 따라 성능 개선에 필요한 혼화재료를 적절한 비율로 섞어서 만든다. 로마 시대에 화산회와 석회석을 써서 만든 것이 시초라고 하나, 19세기에 포틀랜드 시멘트의 발명에 따라서 생산과 시공 기술이 발달되어 왔으며 이후 약 150년간 구조용 재료로써 널리 쓰여져 왔다. 근년에는 댐이나 도로포장, 교량 등의 토목...2024.10.08
-
수경성 시멘트 압축강도 및 응결시험 방법2024.11.071. 수경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측정 1.1. 실험 목적 이 시험은 수경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수경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측정 실험의 목적은 첫째, 물/시멘트 비에 따른 모르타르의 플로를 비교하고, 둘째, 재령에 따른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1.2. 실험 조건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시멘트와 물 : 시멘트는 한일 시멘트(17년 1월 25일)를 사용하였고(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물은 실험실의 수돗물을 사용하였다. 이번 시험은 물/시멘트 비에 따른 모르타르의 플로와 ...2024.11.07
-
고강도 콘크리트 사례 분석 및 적용2024.12.091. 서론 콘크리트는 사회기반시설물 및 민간 구조물 구축에 지금까지 가장 많이 이용된 대표적 건설재료이다. 오늘날 경제ㆍ사회ㆍ문화 전반에 걸친 급속한 발전은 교량,도로,철도 등의 사회기반시설물에 대한 수요를 대량으로 창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조물은 대형화ㆍ고층화ㆍ장대화 되고 있으며, 건설재료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재료에도 시공성ㆍ강도ㆍ내구성이 향상된 고성능 콘크리트(High Performance Concrete, HPC)의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고성능 콘크리트는 크게 고강도 콘크리트, 고내구성 콘크리트, 고...2024.12.09
-
압축강도 및 휨강도2024.11.061. 개요 1.1. 콘크리트의 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는 콘크리트의 가장 중요한 성질이다. 고체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공극률과 강도는 반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와 같은 다상(多相) 재료의 강도는 구성재료 각각의 공극률에 크게 의존한다. 골재는 일반적으로 조밀하여 고강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보통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은 시멘트풀 메트릭스의 공극률이나 골재와 메트릭스간의 천이대에 따라 좌우된다. 1.2.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는 콘크리트 혼합물을 만들 때 시멘트, 골재, 물 및 혼화재료의 정확한 ...202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