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센서 보고서2024.10.241. 센서 실험 및 특성 분석 1.1. 가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는 물체의 움직임이나 진동을 감지하여 가속도의 변화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가속도 센서는 기계적 관성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크게 압전 방식, 정전 용량식, 열전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압전 방식 가속도 센서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가속도에 비례하는 전하를 발생시키는 원리로 작동한다. 가속도가 가해지면 압전 소자가 변형되어 전하가 발생하고, 이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압전 가속도 센서는 강한 내충격성과 함께 직류에서 고주파까...2024.10.24
-
자동제어 32024.10.16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초음파 센서와 기울기 센서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 물체감지 및 거리 측정, 그리고 기울기 측정 방법을 익히는 것이다. 초음파 센서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기울기 센서는 물체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번 실험을 통해 각 센서의 동작 원리와 특성을 살펴보고, 실제 거리 및 기울기 측정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이들 센서 활용 능력을 높이고자 한다. 1.2. 실험 기자재 및 Tool 실험 기자재 및 Tool은 다음과 같다. PC는 실험을 위한 메인 ...2024.10.16
-
Ai반도체와 차량용 전력반도체 동향2024.10.231. 인공지능 생태계와 지능형 반도체 1.1. 인공지능 기술 스택 인공지능 기술 스택은 인공지능 서비스를 소비자 또는 기업이 활용하기 위해 거치게 되는 다양한 기술로 이루어진 계층(layer)의 집합이다.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 스택은 각 기술 계층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지를 보여준다. 첫째, 인공지능 기술 계층은 서비스, 학습, 플랫폼, 인터페이스 및 하드웨어의 9개 계층으로 구분된다. 서비스 계층은 최종 소비자 또는 기업에게 제공되는 실제 인공지능 응용서비스를 의미하고, 학습 계층은 대량의 데이터를 활...2024.10.23
-
강유전체2024.10.181. 강유전체의 정의와 특성 1.1. 강유전체의 정의 강유전체는 전기적으로는 절연체인 유전체의 일종으로서, 특수한 물리적 성질을 가진 물질이다. 강유전체[强誘電體, ferroelectrics]는 자연 상태에서 전기 편극(電氣偏極)을 가지고 있는 물질을 말한다. 1920년 로셸염이라는 물질에서 처음 그 성질이 발견되어 알려지게 된 물질이다. 물질에 전기장을 가하면 그 영향으로 일반적으로 쌍극자 모멘트가 생겨서 전기 편극이 일어난다. 그러나 어떤 특정한 물질은 전기장을 가하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전기 편극이 일어나는 것이 있는데, 이 ...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