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암 완충2025.04.161. 암 완충 암 조직의 미세환경이 산성화되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는 암세포의 고도의 해당과정으로 인해 다량의 젖산과 수소이온이 생성되고, 혈액 및 림프액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이러한 대사 산물이 축적되기 때문이다. 암세포는 정상 세포와 달리 세포 내부가 알칼리성을 띠고 있다. 이는 암세포의 산소 호흡이 억제되고 해당과정이 활발히 일어남에 따라 세포 내로 많은 양의 수소이온이 생성되는데, 이를 막기 위해 세포막 수송체들을 통해 적극적으로 세포 밖으로 배출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암세포 주변의 미세환경은 산성화...2025.04.16
-
완충용액을 이용한 암 치료2025.06.091. 서론 1.1. 완충용액과 암 치료의 연관성 완충용액은 작은 양의 산이나 염기를 가해도 pH의 변화가 크지 않은 용액이다. 이러한 완충용액의 성질은 암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암 조직은 정상 조직에 비해 pH가 낮은 산성 환경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암세포의 해당 과정 항진에 따른 젖산 및 수소이온 과다 생성으로 인한 것이다. 암 조직의 산성화는 암세포의 침윤과 전이를 촉진하고, 항암제의 효과를 저하시키며, 면역 기능을 억제하는 등 암 진행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암 조직의 산성화를 개선하여 pH를 정상화하는 ...2025.06.09
-
완충용액과 암2025.03.141. 완충용액과 암 1.1. 암의 종양 미세환경을 타깃으로 한 암치료 20세기 말까지의 암 연구에서는 "암은 세포의 병"이라는 생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즉, 암세포에서 일어나는 신호전달계와 유전자의 이상 해명이 암 연구의 주체가 되었다. 그리고 암 치료도 암세포만을 타깃으로 생각하였다. 때문에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사를 유도하는 방법이 암 치료의 중심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암 치료는 암세포만을 타깃으로 하면 치료가 되는 간단한 것이 아니다. 암 조직은 정상 조직에서 혈관이나 기질세포를 흡수하고, 암세포의 생존과 증식에 ...2025.03.14
-
"완충용액과 헨더슨-하셀발흐 식의 응용2025.06.191. 서론 1.1. 완충용액과 암 연구 배경 화학2 수업에서 르샤틀리에의 원리와 공통이온효과에 대해 배운 후, 암의 종양 미세환경 산성화와의 관련성에 대해 관심이 생겼다. 암의 종양 미세환경이 고도로 산성화되어 있어 암의 침윤과 전이를 증가시킨다는 기존 연구를 접하면서, 완충용액을 통해 암 조직의 pH를 조절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었다. 20세기 말까지의 암 연구에서는 암을 세포의 병으로 간주하고 암세포를 직접 타깃으로 하는 치료법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암 치료는 암세포만을 대상으로 하기에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며, 암...2025.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