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은하출판사2024.10.181. 빅히스토리의 개요 1.1. 빅히스토리의 정의 빅히스토리는 "빅뱅에서 현재까지의 우주의 역사를 총체적으로 살펴보는 학문 분야"를 의미한다. 즉, 우리 우주가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떻게 진화해왔으며, 이 과정에서 생명체와 인류는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를 다루는 학문이다. 빅히스토리는 과학, 역사, 철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아우르며,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우리 은하 안의 태양은 1000억개의 별 중 하나에 불과하며, 우리 은하 또한 1000-2000억개의 은하 중 하나일 뿐이다. 이처럼 우리가 살고...2024.10.18
-
분광기의 우주 관측 기술2024.12.231. 천문학의 발전 역사 1.1. 고대의 천문학 1.1.1. 천체 관측의 역사와 중요성 선사시대부터 인류는 천체를 관측해왔다. 고대인들에게 천체 관측은 생존을 위해 필수적이었다. 방향을 알기 위해 해의 위치나 별자리를 관측했으며, 계절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해 그림자의 변화와 별자리의 위치 변화를 관찰했다. 이를 바탕으로 달력이 체계적으로 만들어졌다. 동양과 서양은 천체를 관측하는 태도에서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서양은 태양과 달뿐만 아니라 행성의 운동에도 관심이 많았지만 동양은 별자리의 위치 변화에 더 주목했다. 희랍 시대부...2024.12.23
-
빅뱅이론2024.09.051. 빅뱅이론의 개요 1.1. 우주 팽창론 팽창 우주론이라고도 하는 우주 팽창론은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이론이다. 일반 상대성이론에 근거한 우주 팽창론을 처음으로 발표한 사람은 W. 데시테르이다. 데시테르는 중력론의 방정식을 풀 때 우주의 평균 밀도를 0으로 두었기 때문에, 물질이 포함되지 않는 우주론을 제시했다. 하지만 1922년부터 1929년 사이에 A. 프리드만, G. 르메트르, H.P. 로버트슨 등이 물질을 포함하는 팽창 우주론을 발표하였다. 특히 주목을 끈 것은 르메트르의 "우주론"으로, 그는 "우주는 초고밀도의 원시원...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