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젖산산증2025.02.221. 젖산산증 1.1. 정의와 원인 젖산은 탄수화물이 해당 과정을 거쳐 에너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이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생성된 젖산은 대부분 간에서 다시 포도당으로 전환되거나 다른 대사과정을 거쳐 제거된다. 그러나 근육 활동의 증가, 장기 부전, 독성물질 섭취 등의 요인으로 인해 젖산이 빠르게 생성되거나 제거되지 못해 혈중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 젖산산증이 발생한다. 젖산산증은 대사성 산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되며, 산-염기 평형의 불균형으로 인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알코올 중독 환자나 당뇨병 환...2025.02.22
-
알코올성2025.05.281. 알코올성 간질환의 병인 1.1. 알코올 대사 과정 알코올은 주로 간에서 대사되며,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화학 반응이 일어난다.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고, 이후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가 아세트산으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타이드(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가 환원되어 NADH가 생성된다. ...2025.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