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개
-
간경화 문제2024.09.211. 간경화증 1.1. 간의 기본 기능 1.1.1. 음식물의 대사 간은 다양한 대사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중에서도 음식물의 대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간은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의 대사에 관여하여 영양분 균형을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간은 글리코겐 형태로 포도당을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포도당으로 분해하여 혈류로 내보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아미노산으로부터 포도당을 합성하는 gluconeogenesis 과정을 거쳐 에너지 대사를 조절한다. 지질 대사 측면에서 간은 콜레스테...2024.09.21
-
micu 토혈 케이스2024.09.241. 서론 1.1. 위장관 출혈의 정의 위장관 출혈은 식도와 위, 소장, 대장 등의 점막이 손상되어 혈관이 노출되어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한다.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상부 위장관 출혈과 소장과 대장에서 발생하는 하부 위장관 출혈로 구분할 수 있다. 1.2. 위장관 출혈의 원인 위장관 출혈의 주요 원인은 상부 위장관 출혈과 하부 위장관 출혈로 나뉜다. 상부 위장관 출혈의 주요 원인은 소화성 궤양이 약 50% 정도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식도 정맥류 출혈이 5~30%를 차지한다. 그 밖에 스트레스성 궤...2024.09.24
-
알코올중독 회복자 대상 재활프로그램2024.09.241. 알코올중독의 정의와 유형 1.1. 알코올중독의 개념 알코올중독(Alcoholism)이란 전통적인 음주 습관의 범위를 넘거나 혹은 지역사회전체의 사회적 음주 습관을 넘어서 음주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는 1849년 스웨덴의 Magnus Huss가 과도한 음주의 부정적 결과를 의미하는 용어로 처음 사용하였다. 이후 알코올중독은 알코올 의존(alcohol dependence), 알코올 남용(alcohol abuse), 알코올 중독(alcohol addiction) 등 다양한 용어와 개념이 혼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정신의...2024.09.24
-
알코올의존증 케이스2024.10.071. 알코올 의존증 1.1. 정의 알코올 중독은 한 개인의 직업, 사회, 가정 적응에 장애를 가져오는 것으로 술을 마시며 반복되는 음주를 중단할 수 없고 생리적 장애와 중독으로 인한 사회적 기능과 인지능력 등 전반적인 생활에 장애를 가져오며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양을 초과하여 통제능력을 상실한 경우를 의미한다. 즉, 오랜 기간 지속적이고 과도한 음주로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부작용을 유발하는 만성적 질환이다. 또한 알코올 중독은 치료적 개입이 없이 방치되는 경우, 알코올로 인한 신체적 합병증 및 알코올성 치매 등의 정신질환을 유발하...2024.10.07
-
28일동안 간호과정2024.10.24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알코올 남용과 알코올 의존은 현대사회에서 크게 대두되고 있는 질환이다. 우리나라는 일제식민지 전까지만 해도 사회 전반적인 유교문화의 영향 속에 술에 취하는 것이나 과음을 허용하지 않았지만, 해방 이후 급속한 산업화 과정 속에서 여가시간을 유용하게 보낼 건전한 놀이문화를 만들어내지 못한 채 단합이나 사업을 위한 음주문화가 잦아지고, 술이 대중화 되면서 남녀노소 불문하고, 누구나 자연스럽게 접하게 되면서 술로 인한 많은 신체적, 사회적 부작용도 많아져 그에 따른 기회비용이 증가하였다. 최근에는 청소년...2024.10.24
-
alcohol dependence2024.10.161. 알코올 의존증(Alcohol dependence) 1.1. 정의 알코올 의존증(Alcohol dependence)이란 병적인 음주의 양상을 나타내거나 음주에 의한 사회적 또는 직업적 기능 장애와 더불어 내성이나 음주의 감량·중지에 따라 금단 증상(이탈 증상)이 생기는 현상이다. 의존성은 행동적 및 신체적으로 나뉘는데, 행동적 의존은 알코올 섭취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문제 행동이고, 신체적 의존은 알코올 장기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 알코올에 대한 내성과 금단 증상이다. 알코올은 신경전달물질에 영향을 주어 뇌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2024.10.16
-
알코올 남용 케이스2024.09.28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알코올 사용장애'는 국제적으로 사용하는 최근에 개정된 DSM-5에서 새로 규정한 '문제가 있는 음주자'를 규정한 병명이다. 우리나라에서 2011년 실시한 전국 정신질환 역학조사 결과, 알코올 사용장애의 평생 유병률은 20.7%, 여자 6.1%, 전체 13.4%로 남자 다섯 명 중 한 명은 알코올 사용장애를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WHO의 2011년 세계 보건기구의 알코올과 건강에 관한 전 세계 사람들의 통계에 의하면 2004년 우리나라의 알코올 사용장애 유병률은 6.6...2024.09.28
-
응급실 치료적 의사소통2024.11.181. 성인간호학 임상 사례 보고서 - UGI(상부 위장관 출혈) 1.1. 응급실 대상자의 건강상태 사정 1.1.1. 일반적 사항 성명 : 홍OO 성별 : M 연령 : 67세 병록번호 : 00014** 내원일시 : 2016.10.12. 8:51am 내원경로 : 119 내원수단 : 119 구급차 내원 시 동반자의 환자와의 관계 : 보호자(아들) 직업 : - 경제상태 : - 진단 : UGI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상부 위장관 출혈) 홍OO 환자는 67세 남성으로, 응급실로 119 구급차를 통해...2024.11.18
-
간경화증 케이스스터디2024.12.121. 서론 1.1. 사례선정 필요성 실습부서에서 개인적으로 눈에 띄었던 증상이 복수로 인해 가득 부푼 복부와 황달이었다. 남녀노소할 것 없이 꽤나 여러 환자에게서 볼 수 있었다. 특히나 남성에게서는 간경변증 중에서도 만성적인 알코올을 남용한 환자에게서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알코올성 간경변증을 적지 않게 볼 수 있었다. 특별히 통증을 겪는 대상자는 없었지만, 아주 기본적인 일상활동인 보행부터가 어려운 대상자도 있었고, 가득 찬 복수로 인해 삶의 질이 저하되고, 심한 황달도 인해 자존감이 저하되는 등 이 질병은 일상 깊은 ...2024.12.12
-
급성췌장염 간호진단2024.11.111. 급성 췌장염 1.1. 정의 급성 췌장염은 췌장의 염증으로서 췌장 자체 효소에 의한 췌장세포의 자가소화를 일으키는 급성 염증의 상태이다. 이는 잠재적으로 췌장의 부종, 괴사, 출혈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치명적인 염증과정이다. 그러나 급성 췌장염의 증상은 원인이 제거되면 보통 사라지며, 대부분의 경우 경미하거나 중등도의 증상을 나타내고 지지적인 간호로 호전된다. 다만 10%의 환자에서는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상태가 될 수 있다. 1.2. 원인 1.2.1. 위험요인 급성 췌장염의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알코올...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