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사성 산증
1.1. 정의 및 원인
대사성 산증은 혈액의 산-염기 균형이 깨져 수소이온 농도(pH)가 7.35 미만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다양한 내인성 및 외인성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내인성 요인으로는 대사 과정에서 과도한 산 생성, 산 제거 기능 저하, 포도당 이용 장애 등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당뇨병성 케톤산증, 알코올성 케톤산증 등이 있다.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인슐린 부족으로 인해 포도당 대신 지방이 분해되면서 케톤체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발생한다. 알코올성 케톤산증은 알코올 섭취로 인해 췌장의 인슐...
2024.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