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
-
보건관리자2024.09.171. 산업안전보건법 1.1. 법의 목적과 정의 산업안전보건법은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노무를 제공하는 자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ㆍ증진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에 따르면, "산업재해"는 노무를 제공하는 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ㆍ설비ㆍ원재료ㆍ가스ㆍ증기ㆍ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하며, "중대재해"는 산업재해 중 사망 등 재해 정도가...2024.09.17
-
산업안전보건법령2024.09.291. 서론 현재 건설 안전과 관련한 규정을 갖고 있는 법 중으로 대표적인 법은 산업안전보건법과 건설기술진흥법이다. 이는 현재 근로기준법이 출범하여 근로자의 신체적 안전을 적극적으로 보장하고자 국가가 노력하게 된 계기이기도 하고 건설 현장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여러 가지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음을 사회적으로 인지하게 된 계기이기도 하다. 본론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과 건설기술진흥법에서 각각 규정하는 건설 안전의 내용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겠으며, 두 법령이 규정하는 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하여 본인의 소견까지...2024.09.29
-
건설산업기본법 건설관련 법령2024.10.101. 건설관련 법령 1.1. 건설공사 직접시공 1.1.1. 직접 시공 대상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르면 건설사업자는 한 건의 공사 금액이 100억 원 이하인 것 중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액 미만인 건설공사를 도급받았을 때 그 건설공사 도급금액 산출내역서에 기재된 총 노무비 가운데 대통령령이 정한 비율에 따른 노무비 이상에 해당하는 공사는 직접 시공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제30조의2에 따르면 '한 건의 공사 금액이 100억 원 이하이면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금액 미만인 건설공사'는 도급금액이 70억 원 미만인 것...2024.10.10
-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2024.11.061.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거푸집 설치 및 해체 작업 시 안전관리 조항 1.1. 산업안전보건법과 하위법령에 명시된 거푸집 설치, 해체 작업 시 안전관리 조항 우리나라의 산업안전보건법은 산업 안전과 보건에 관련된 기준을 확립하고,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며,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여 노무 제공자의 안전과 보건을 유지 및 증진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법에서 말하는 산업재해는 노무 제공자가 업무와 관련이 있는 건설물이나 원재료, 설비, 증기, 가스, 분진 등에 의해서나 작업 혹은 그 외의 업무로 인해서 사망, 부상 ...2024.11.06
-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종류 및 주요내용2024.11.231. 산업안전보건법 개요 1.1.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 및 주요 내용 산업안전보건법은 산업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산업안전보건법은 크게 12장과 부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칙,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안전보건교육, 유해·위험 방지 조치, 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 유해·위험 기계 등에 대한 조치, 유해·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근로자 보건관리,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2024.11.23
-
보건관리자2024.08.291. 산업안전보건법 1.1. 목적 및 정의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 및 정의는 다음과 같다.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은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노무를 제공하는 자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ㆍ증진함에 있다. 즉,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보장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이 법의 주된 목적이다. 이 법에서 사용하는 주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산업재해"란 노무를 제공하는 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ㆍ설비ㆍ원재료ㆍ가스ㆍ증기ㆍ분...2024.08.29
-
보건관리자 업무2024.08.301.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보건관리자의 업무와 법적 근거 1.1. 보건관리자의 법적 의무와 역할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사업주는 사업장에 보건관리자를 두어야 하며, 보건관리자는 사업주 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지도·조언하는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보건관리자의 법적 의무와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관리자는 사업장의 보건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 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지도·조언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8조에 명시된 보건관리자의...2024.08.30
-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업무 지침서2025.03.121.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 및 역할 1.1.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정의 및 선임 요건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경영조직에서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감독하는 부서의 장 또는 그 직위를 담당하는 자이다. 사업장 내 부서단위에서의 산재예방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선임하며, 당해 직무와 관련된 안전보건상의 업무를 수행한다. 관리감독자는 경영조직에서 생산과 관련되는 당해 업무와 소속직원을 직접 지휘 감독하는 부서의 장이나 그 직위를 담당하는 자로 선임되며, 일반적으로 조장, 반장, 과장, 차장 등의 직책에 따라 지정하는...2025.03.12
-
근로자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업무협력관계 구축의 필요성2024.09.081. 안전보건관리체계 1.1.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의 필요성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를 효과적이고 계속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직이며,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산업재해 예방활동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전보건관리체제를 구축하여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이행'은 일하는 사람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기업 스스로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제거·대체 및 통제방안을 마련·이행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한다."" 이는 개인의 노력과 의지만으로는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없으므로 ...2024.09.08
-
자가간호결핍 산업장2025.04.011. 사례보고서 1.1. 산업 간호를 정책적, 행정적으로 지원하고 관장하는 행정기관 산업 간호를 정책적, 행정적으로 지원하고 관장하는 행정기관에는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근로복지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고용정보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노사발전재단, 건설근로자공제회,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잡월드, 한국고용노동교육원이 있다. 고용노동부는 산업안전보건 정책을 수립하고 관리하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사업을 수행한다. 근로복지공단은 산재 보상과 근로자 복지를 담당하고,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장애인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