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동북아해역2024.11.261. 동북아시아의 영토 분쟁 1.1. 한국과 일본의 독도 영유권 분쟁 1.1.1. 독도를 둘러싼 영토 분쟁의 역사 독도를 둘러싼 영토 분쟁의 역사는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430년부터 조선 정부는 울릉도의 공도 정책을 300여 년간 추진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1618년 일본 막부가 어민들에게 울릉도 도항 면허를 내어주며 자신의 어로수역으로 관리하게 되었다. 독도 분쟁의 발단은 동래 어부 안용복이 숙종 19년(1619년) 울릉도 해역에서 고기를 잡다가 대마도 출신 어부들에게 납치되어 울릉도 해역이 조선 관할임을 주장한 데...2024.11.26
-
독도 지도안2024.11.021. 독도 1.1. 독도의 지리적 위치와 자연환경 독도는 동해 최동단에 위치한 우리나라 영토로, 동도와 서도 두 개의 큰 섬과 89개의 부속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독도는 북위 37도 14분 22초, 동경 131도 51분 57초에 위치하고 있으며, 육지(죽변)에서 약 214km,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약 88km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다. 독도는 화산 활동에 의해 형성된 섬으로, 동도의 최고 높이는 98.6m, 서도의 최고 높이는 168.5m이다. 독도의 총면적은 약 54만 평에 달한다. 독도는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울릉군 울...2024.11.02
-
지체장애 독도2024.11.021. 독도 지키기 위한 조상들의 노력 1.1. 안용복 안용복은 조선시대의 어부로, 독도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던 중요한 인물이다. 안용복은 1693년 울릉도에 갔다가 일본인들이 독도에 침입하여 물고기를 포획하는 것을 목격하였다. 이에 안용복은 일본 관리에게 직접 가서 독도가 조선의 영토라는 것을 주장하고 문서로 그 권리를 인정받는 데 성공하였다. 안용복이 일본 관리를 만나 독도에 대한 조선의 주권을 주장하고 문서로 인정받은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당시 일본은 울릉도와 독도를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하며 조선인의 출입을 금지하고 있었...2024.11.02
-
독도는 한국땅2024.08.281. 독도의 역사적, 법적 지위 1.1. 독도의 역사적 지위 1.1.1. 이사부의 우산국 정복 512년, 신라의 장수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복하면서 독도 또한 한국의 영토로 인식되었다. 신라의 장수 이사부는 아슬라주의 군주가 된 이후, 우산국의 사람들을 우둔하며 사납고, 다루기 어려운 사람들이기에 항복을 받기 어려워 계략을 통해 항복을 받아야 한다 생각하였다. 이에 이사부는 나무로 사자를 만든 후 이를 내세우며 "너희들이 만약 항복하지 않는다면 이 맹수를 풀어 너희들을 밟아 죽이도록 하겠다."라고 말하였고, 이에 우산국의 백성들은...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