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약리학문제2024.09.181.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1.1.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1.1.1. 녹내장 약물 녹내장 약물은 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약물들이다. 녹내장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에는 축동제, 아드레날린 효능제, 아드레날린 길항제,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등이 있다. 먼저, 축동제는 동공을 수축시켜 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대표적인 축동제로는 pilocarpine, carbachol 등이 있다. 이러한 축동제는 녹내장 환자의 안압 감소에 효과적이지만 과도한 수축은 폐색성 녹내장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아드레...2024.09.18
-
의학용어 일반 해부학2024.10.061. 신체의 기본 구조와 이해 1.1. 해부학적 자세와 인체의 면 1.1.1. 해부학적 자세 해부학적 자세는 인체의 부위별 위치와 운동의 동작에서 기준이 되는 자세이다. 양팔을 옆에 붙이고 손바닥과 발끝을 앞으로 향한 상태로 눈은 수평위치에서 정면을 바라보는 자세를 말한다. 이러한 해부학적 자세는 인체와 기관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를 정의하는 기준이 된다. 이를 통해 신체의 구조와 움직임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으며, 의학 및 무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1.1.2. 인체의 면 인체의 면은 인체...2024.10.06
-
백내장 케이스2024.10.281. 서론 1.1. 백내장 개요 백내장은 수정체의 혼탁으로 빛을 제대로 통과시키지 못하게 되면서 안개가 낀 것처럼 시야가 뿌옇게 보이게 되는 질환이다. 수정체는 눈의 주된 굴절기관으로 작용하는데, 이러한 수정체가 혼탁해짐에 따라 빛을 제대로 통과시키지 못하게 되어 시력 감퇴가 발생한다. 백내장은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구분된다. 선천성 백내장은 대부분 원인 불명이며 유전성이거나 태내 감염, 대사 이상에 의한 것도 있다. 후천성 백내장은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노년 백내장이 가장 흔하며, 외상이나 전신질환, 눈 속의 염증, 약물 등에...2024.10.28
-
성인간호학 정리2024.12.151. 감각계 1.1. 맥락막 맥락막은 망막과 공막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망막의 바깥 1/3 부분의 대사를 주관하는 역할을 한다. 맥락막은 공막을 통하여 들어오는 광선을 차단하고, 맥락막 혈관망은 망막과 공막에 영양을 공급한다. 맥락막은 색깔이 진하며 망막에 연화된 판구조를 가지고 있다. 맥락막은 지방조직과 혈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망막의 외측 1/3 정도를 영양 공급한다. 맥락막은 공막을 통해 들어온 광선을 차단하여 망막에 전달되는 광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맥락막은 망막의 색소상피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한...2024.12.15
-
성인간호학 망막박리 수술 후 관리 간호진단 케이스 연구2024.11.271. 망막박리의 개요 1.1. 정의 망막박리(retinal detachment)는 감각층인 망막과 색소혈관층인 맥락막의 분리가 일어나는 것이다. 외상이 촉발요인이기는 하나 원인 없이 발생할 수도 있다. 망막의 파열은 모양과 성질에 따라 원공(hole), 열공(tear), 해리(dialysis)로 구분되는데 이 중 가장 흔한 것이 열공이다. 망막 열공은 망막과 유리체(vitreous; 초자체, 안구 내부를 채우고 있는 투명한 젤 성분의 물질)가 붙어 있는 부위에서 망막이 찢어져 구멍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이 구멍을 통해 액체 상태...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