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1.1.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
한국사회가 압축적인 경제성장 과정을 거치면서 필연적으로 많은 이주노동자들이 유입되었고, 이들이 장기 체류하면서 그간 민족국가라 자부하던 한국인이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문화적 정체성이 한국사회와 공존하게 되었다. 특히 88서울 올림픽과 90년대 한중수교 이후 폭발적으로 늘어난 외국인 노동자들은 산업화에 중요한 기여를 하며 다문화 사회를 이루는 축이 되었다. 이들이 주로 정착한 구로구 대림동이나 안산 원곡동 등의 지역은 산업시설에 근접한 곳에 자리잡으면서 '이주노동자'의 개념을 충실히 이행했...
2024.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