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실내 환경요인이2024.11.051. 실내 환경 요인이 소아 아토피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1.1. 온도 및 습도 아토피피부염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온도와 습도와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인다. 5세 이하의 아토피피부염 환자 177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대기 온도가 5°C 상승할 때마다 증상 발현은 12.8% 감소하였고, 대기 습도가 5% 상승할 때마다 증상 발현은 3.3% 감소하였다. 그러나 또 다른 연구 결과에 따르면, 5000명의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증상이 가장 악화되는 시기가 8월(48.4%), 7월(46.7%), 12월(44.2%)의 순서로 여름철에...2024.11.05
-
아동간호학 정리노트2024.10.151. 아토피피부염의 치료적 관리 1.1. 소양증 조절 소양증 조절은 아토피피부염 치료의 주요 목표 중 하나이다. 소양증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과열, 비누, 모직이류, 기타 피부 자극물 등의 환경 요인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구강 히스타민제 투여가 소양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이와 함께 적절한 피부 수화 관리가 소양증 조절에 필수적이다. 피부 수화를 위해서는 건조법과 습성법이 사용된다. 건조법은 목욕하지 않고 마른 피부에 유연제를 자유롭게 사용하는 방식이며, 습성법은 목욕 후 습윤찜질을 하고 폐쇄성 크림이나 연고를 바르...2024.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