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한강대교 구조시스템 분석을 통한 건축 구조적용가능성 적용 가2024.09.251. 교량시설물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분류 1.1. 교량의 구조적 특징 교량은 도로, 철도, 수로 등을 통한 운송에 장애가 되는 하천, 계곡, 강, 호수, 해안, 해협 등을 건너가거나, 다른 도로, 철도, 가옥, 농경지, 시가지 등을 넘어가기 위해 건설되는 구조물을 말한다. 교량시설물은 크게 상부 구조와 하부 구조로 나눌 수 있다. 상부 구조는 교량의 주체로 교통의 하중을 직접 받쳐 주는 부분이며, 하부 구조는 상부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부분이다. 교량의 경간은 교대 및 교각의 지점과 지점 사이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며, 지간은 ...2024.09.25
-
유명한 건축물 속의 수학적 원리2024.11.231. 수학과 건축 1.1. 미적분과 건축 1.1.1. 미적분의 개념 미적분은 미분과 적분의 수학적 이론을 말하며, 17세기 후반에 라이프니츠에 의해 만들어졌고, 약 10년 후에 뉴턴은 유율법을 만들어 미적분에 이용하였다. 라이프니츠와 뉴턴 모두 무한소 문제를 풀기 위한 것이었으며 곡선의 접선, 호의 길이, 곡률 반경, 무게중심, 면적(넓이), 부피 등을 구하기 위해 미적분을 사용하였다. 미분은 움직이는 대상을 다루는 것이며, 적분은 도형의 넓이, 부피와 같이 움직이지 않는 대상을 다룬다. 움직이는 대상을 연구하는 미분은 17세...2024.11.23
-
케이블구조를 응용한 건축물 설계2025.02.101. 서론 1.1. 현대생활과 디자인 디자인은 산업사회가 만든 가장 가치 있는 분야로서 기능성과 심미성의 조화를 통해 인간의 근본적인 생활을 보다 더 윤택하게 하고, 편리함과 아름다움을 창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즉, 디자인은 미의 과학으로서 생산성을 바탕으로 기술적인 부분과 예술의 조화로 인간생활의 반전에 기여하는 활동이다. 디자인의 유래는 '계획하다', '지시하다', '표현하다', '성취하다'라는 뜻을 가지는 라틴어인 데시그나레(designare)에서 유래된 단어이며, 프랑스어의 데셍(Dessein)과도 연관이 있다....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