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고백록2024.09.171. 소개 《고백록》은 어거스틴이 397년에 쓰기 시작하여 400년에 완성한 작품으로, 서방교회의 지도자이자 고대 그리스도교 철학의 대부인 어거스틴 자신의 회고록이다. 이 책을 통해 그는 자신의 방탕했던 옛 생활을 참회하고 참된 그리스도교인으로 거듭났음을 고백한다. 《고백록》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1권부터 9권까지는 어거스틴의 과거에 대한 기억과 회상, 즉 인간의 죄와 그를 도와주시는 하나님의 은총과 관용에 관한 내용이다. 10권은 그의 영적 현재 상태를 묘사하고, 11권부터 13권까지는 창세기 첫 장에 대한 해석, 즉 ...2024.09.17
-
중세교회 신학2024.09.151. 중세 교회사 1.1. 로마 함락 이후의 기독교권 로마 제국의 통일성이 영원히 사라지면서 기독교권 또한 큰 변화를 겪었다. 당시 서방교회는 야만족들의 침입으로 인해 학문의 불꽃이 겨우 명맥만 유지할 수 있었다. 반면 동방 기독교권은 교리 논란에 시달렸다. 서방 기독교의 경우, 프랑크족, 비시고트족, 부르군디족 등 야만족들이 기독교를 수용하면서 점차 정통 신앙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특히 프랑크족의 클레비스 왕이 정통 신앙으로 귀의한 것은 중요한 사건이었다. 하지만 이들 야만족들은 여전히 매우 잔인하고 야만적이었다. 서방 기...2024.09.15
-
예수그리스도의 양성합일론에 관하여2024.10.311. 교의신학의 역사와 문헌 1.1. 교의의 형성 우리는 일반적으로 교리의 형성이나 신학과 관련하여 교회의 전통을 과대평가하거나 또는 그와 반대로 평가절하 하는 잘못을 범할 수 있다. 아돌프 폰 하르낙(Adof von Harnack)은 초기 교회의 교리발전을 기독교와 이교 인 그리스 철학 문화의 혼합으로 보았다. 그는 하나님 나라를 그 내면에 예수의 형상이 살아 있는 사람들이 실현한 도덕적 실재로 보았으며, 기독교 신학은 교의의 역사 전체를 제거한 후에, 주로 산상설교에서 발견되는 예수의 원래 복음으로 단호하고 철저하게 되돌아가야...2024.10.31
-
아우구스티누스 참된종교2024.10.231. 서론 1.1. 서양 사유의 근간,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오늘날 서구인들의 사유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두 가지 사상은 크게 헬레니즘(Hellenism)과 헤브라이즘(Hebraism)으로 집약될 수 있다. 헬레니즘은 고대 그리스의 문화와 사상을 계승한 것으로, 철학, 예술,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은 서양 철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반면 헤브라이즘은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토대가 되는 구약성서에 근거한 사상이다. 유대교와 그리스도교, 나아가 이슬람교까지 세계 3대 종...2024.10.23
-
오순절 삼위일체2024.12.031. 서론 1.1. 기독교 신앙에서 성삼위일체의 중요성 기독교 신앙에서 성삼위일체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성삼위일체는 기독교의 핵심 교리 중 하나로서, 하나님이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인격체로 존재하시면서도 본질적으로 하나이신 것을 의미한다. 이는 기독교 신앙의 기초가 되는 개념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의 심장은 삼위일체에 대한 신앙고백에서 박동한다."고 말하며, 삼위일체 교리가 기독교 신앙의 본질이라고 강조하였다. 바빙크 또한 "하나님의 삼위일체성과 더불어 전체 그리스도교와 전체 특별계시는 서고 넘어진...2024.12.03
-
고백록2024.08.281. 소개 서론 《고백록》은 기독교 역사상 가장 중요한 저서 중 하나이다. 이 책은 서방 기독교 신학의 대표적인 사상가인 아우구스티누스가 397년부터 400년까지 집필한 자신의 자전적 회고록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방탕했던 과거를 반성하고, 하나님의 은총으로 참된 그리스도인이 되어가는 자신의 내적 여정을 고백하고 있다. 《고백록》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부터 9권까지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과거 회상과 그 과정에서 드러난 인간의 죄와 하나님의 은총을 다루고 있다. 10권은 아우구스티누스의 당시 영...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