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텔레비전 바로보기와 비평 분석2024.10.041. 텔레비전과 비평 1.1. 텔레비전의 영향력 우리는 머리에 피도 채 마르지 않는 시절부터 텔레비전을 보면서 지구는 독수리 오형제가 지킨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고 우리나라 최고의 이장님은 최불암 아저씨라는 것도 알게 해준 것이 바로 텔레비전이다. 또한 우리는 텔레비전을 통해서 미국이란 나라가 세계에서 제일 강력한 나라이고 아프리카엔 굶주림에 허덕이는 수많은 아이들이 살고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이처럼 우리가 성장하면서 사고방식과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형성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친 존재가 바로 텔레비전이다. 인격과 가치관의 ...2024.10.04
-
홀로코스트 역사적 트라우마 크리스티앙 볼탕스키2024.10.271. 유럽과 한국의 홀로코스트 1.1. 머리말 전 세계적으로 홀로코스트에 대해 대표적인 사건을 말해보라하면 대부분 독일 나치의 유태인 대량학살을 말할 것이다. 이것은 독일사 가운데 가장 수치수럽고 악한 시대로 나타난다. 나치의 홀로코스트는 본래 유태인들이 제사에 쓰는 구운 희생물을 뜻했지만 현재에는 정상적인 역사과정의 밖에 있는 신적인 힘을 갖는 학살사건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 이 단어는 1961년 예루살렘에서 여린 나치 전범 아돌프 아이히만에 대한 재판 때부터 널리 사용되었다. 홀로코스트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2024.10.27
-
상징적폭력2024.10.111.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1.1. 상징폭력이란 무엇인가 상징폭력이란 지배관계를 유지할 목적의 어떤 객관화된 제도도 존재하지 않는 카빌리아와 같은 유형의 사회와 객관화된 제도가 존재하는 유형의 사회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전자의 경우 지배관계는 끊임없이 갱신되어야 하는 전략들에 의해서만 유지될 수 있다. 왜냐하면 다른 행위자들이 노동 혹은 존경을 안정적이고도 매개적인 방식으로 전유할 수 있는 조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기본적인" 형태 속에서 지배가 작동할 수 있기 위해서는, 지배관계를 매혹적인 관계로 포장해서 은폐함으로...2024.10.11
-
상징폭력2024.10.111.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1.1. 상징폭력이란 무엇인가 상징폭력이란 마치 물리적 폭력이 아니라 점잖고 비가시적인 형태의 폭력으로 행사되는 것이다. 소쉬르(Saussure)와 촘스키(Chomsky)의 언어이론에 반하여, 부르디외는 언어가 형성되고 사용되는 사회적-정치적 조건을 무시해온 것에 주목하였다. 상징적 실천은 결코 폭력으로 인식되지 않고 오로지 그것이 의존하고 있는 메커니즘을 밝힘으로써만 인식될 수 있다. 이는 언어의 구조사회학적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으로, 사회적-정치적 차이들의 체계와 언어적 차이들의 체계...2024.10.11
-
영상문화의 이해2024.10.121. 아우라의 변화와 현대 사회의 영상문화 1.1.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과 디지털 시대의 변화 발터 벤야민은 예술작품에 특별한 "아우라(Aura)"가 존재한다고 보았다. 아우라란 예술작품이 가지는 고고한 분위기, 유일한 존재라는 맥락을 의미한다. 과거 전통시대에는 기술이 미흡했기 때문에 작품을 완전히 복제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그렇기에 원본은 세상에 단 하나만 존재했고, 원본에 대한 유일성과 원본성은 관객들에게 아우라를 더욱 공고하게 하였다. 그러나 사진 등 재현기술이 발달하면서 작품 복제가 심해졌고, 작품의 원본성은 의심받게...2024.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