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고칼륨혈증 간호진단2024.09.191. 고칼륨혈증(Hyperkalemia) 1.1. 정의 및 원인 고칼륨혈증(Hyperkalemia)은 혈청 칼륨이 5.0 mEq/L 이상 상승한 상태이다. 고칼륨혈증은 콩팥기능이 정상인 사람에게는 드물게 나타나고 급성 콩팥기능상실이 있는 사람의 50% 이상에서 발생한다. 고칼륨혈증의 기본 원인은 콩팥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다. 칼륨 배설의 80-90%가 콩팥에 달려 있기 때문에 콩팥기능 저하가 고칼륨혈증의 주된 원인이 된다. 그 외에도 칼륨 정체, 세포 내 칼륨의 과다 유리, 칼륨의 과다 투여 등이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2024.09.19
-
고칼륨혈증 케이스2024.12.131. 서론 1.1. 고칼륨혈증의 정의 고칼륨혈증이란 혈중 칼륨 농도가 정상(3.5-5.0mEq/L) 이상 과도하게 상승된 상태로 5.0mEq/L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칼륨은 우리 몸에서 근육과 심장, 신경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데 필수적이고, 칼륨의 약 98%가 세포 내에 존재하므로 세포 내에서 세포 외로 소량만 이동해도 커다란 생리학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1.2. 고칼륨혈증의 원인 고칼륨혈증은 칼륨이 신장을 통해 배설되는 과정에 장애가 생겨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칼륨은 신장을 통해 90% 이상 배설되는데, 신장기능 ...2024.12.13
-
급성 심근경색 심박출량2024.10.301. 급성 심근경색증 1.1. 정의 및 병태생리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중의 하나이다. 혈전으로 인한 관상동맥의 완전한 폐색으로 발생하는 ST분절 상승 심근경색과 관상동맥의 부분 폐색으로 발생하는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심장발작이라고도 한다.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2024.10.30
-
심막염 간호과정2024.11.211. 급성 심근심낭염(심막염) 1.1. 간호력 1.1.1. 주호소/진단명/과거력 대상자는 오심, 구토를 주호소로 내원하였으며, 급성 심근심낭염(심막염)으로 진단받았다. 과거력으로는 고지혈증, 갑상선항진증, 매독이 있었고, 가족력으로는 고혈압, 뇌출혈이 있었다.대상자는 평소 무증상이었으나, 수면 중 흉골 부위의 찌르는 듯한 통증과 구토감이 발생하여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이는 대상자에게 처음 경험하는 증상이었다. 진단 검사 결과 급성 심근심낭염(심막염)으로 진단되었으며, 과거력상 고지혈증, 갑상선항진증, 매독 등의 병력이 있었고,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