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3개
-
정신과병동2024.10.261. 정신과적 검사 및 주의사항 1.1. 일반검사 정신과에서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검사인 일반검사는 혈액, 소변, 기타 검사를 포함한다. 이는 환자의 기저 질환이나 전신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검사들이다. 우선 혈액검사에서는 일반혈액검사(CBC), 간기능검사(LFT), 갑상선기능검사, 전해질검사 등을 시행한다. CBC를 통해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수치를 확인하여 감염 여부나 빈혈, 혈액암 등을 파악할 수 있다. LFT는 AST, ALT, ALP, 총 빌리루빈 등의 수치를 통해 간 기능을 평가한다. 전해질검사에서는 나트륨,...2024.10.26
-
심근경색간호진단 심근허혈2024.11.081. 심근경색증의 정의와 특징 1.1. 정의 심근경색증이란 관상동맥 내부의 혈전이나 혈관 연축 등의 원인으로 관상동맥이 막혀서 심장 근육의 일부가 산소 결핍으로 인해 괴사되는 질환이다.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데,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급격히 막히는 경우 심장 근육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근이 괴사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1.2. 병태생리 심근경색증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심근경색증은 지속적인 허혈의 결과로 일어나고 비가역적인 심...2024.11.08
-
비정상 심전도2024.11.081. 심전도의 이해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1. 심장의 기본적인 구조 심장은 골격근과 유사한 점이 많은 특수한 심근 섬유로 짜여진 근육이다. 정상 심장은 각자의 움켜진 주먹 2개 정도(무게는 250 ~ 300g)의 크기이다. 두 겹의 심낭막(심장막)에 싸여 있으며 횡격막의 위에 있고, 기관·식도·하대정맥의 앞쪽과 폐 사이에 위치한다. 앞쪽은 흉골과 늑골에, 옆쪽은 흉막에 단단히 붙어 있다. 심장을 싸며 심장과 붙어 있는 부분을 장측 심낭막이라 하고, 폐와 경계를 이루는 부분을 벽측 심낭막이라고 한다. 이 두 막 사이...2024.11.08
-
조기심방수축2024.11.081. 심전도 리듬 및 치료 1.1. 심방조동 심방조동은 심방의 어느 한 세포가 흥분하여 심장 수축자극을 반복적으로 빠르게 내보냄으로써 심방수축속도가 250-350회/분에 달하는 부정맥이다. 심전도상 심방수축수는 250-360회/분이며, 심실수축수는 60-150회/분으로 나타난다. 이는 심방의 자극이 방실결절에서 차단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2:1, 3:1, 4:1의 전도 비율을 보인다. 전도 이후의 심실 부위는 정상적으로 전도된다. 심전도 상에서는 기저선의 연속적인 동요와 함께 규칙적이고 톱니나 파도 모양의 조동파...2024.11.08
-
5H5T2024.11.081. 심전도 및 호흡음 1.1. 심전도 1.1.1. 정의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파형으로 나타낸 것으로, 심장근육의 전도를 평가하는 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심전도는 체표면으로 전달되는 심장 내의 전기적 흐름을 팔, 다리나 가슴의 신체 표면에 전극을 부착시켜 기록한다. 1.1.2. 정상파형 정상파형은 심전도상에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파형으로, 심근의 전기적 활동이 잘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정상파형은 P파, QRS군, T파 등 다양한 파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파형은 심장 기능의 특정 단계를 반영한다. P파...2024.11.08
-
심근경색 간호과정2024.10.16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심근경색은 사망률이 높은 질병 중 하나인데요. 급성 심근경색의 경우 초기 사망률이 30%에 달하며, 사망 환자의 절반 이상은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환자 25명 중 1명은 퇴원 후 1년 이내에 사망하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사망률이 높은 질병을 연구함으로써 진단 및 증상과 예밥법을 미리 알아야한다고 생각한다"." 1.2. 시나리오 56세 남자 김OO씨는 1년전 MI를 진단받았고, 평소 직장 업무로 스트레스가 많은 직장인 이었다. 스...2024.10.16
-
심방세동2024.11.031.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1.1. 정의 및 원인 심방 세동(Atrial Fibrillation)은 임상에서 접하는 가장 흔한 지속성 부정맥 질환으로, 69세 이상 노인들에게서는 약 5%가 발견된다. 심방 세동은 심방의 수축이 소실되어 여러 부위가 무질서하게 뛰는 상태로, 이에 대한 심전도 소견은 매우 빠르고 불규칙적인 세동파가 분당 35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만들어내는 것이 특징이다. 심방 세동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심장에 병이 없거나 구조적 이상이 없는 사람에게서도 발병할 수 있으며, 대...2024.11.03
-
환자 개인위생 관리2024.11.031. 호흡기계 환자 간호 1.1. 기도 개방성 유지 기도 개방성 유지는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호흡의 원활한 유지를 위해서는 먼저 기도가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환자의 심호흡과 효과적인 기침을 유도하여 기도 개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의자에 앉아 베개를 안고 지지한 자세에서 어깨를 이완하고 고개를 조금 숙이고 숨을 크게 천천히 들이마시고 2~3초 정도 숨을 참은 후 빠르고 강하게 기침을 하게 한다. 이를 5~10회 정도 반복한다...2024.11.03
-
심근경색증 case study2024.10.081. 심근경색증 개요 1.1. 정의 및 원인 심근경색증은 심장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완전히 막혀 발생하는 질환이다. 관상동맥의 주요 원인은 죽상경화증이다.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흡연 등의 위험요인으로 인해 관상동맥 내피세포가 손상되면 죽상경화증이 진행되고, 혈관 내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생겨 관상동맥을 70% 이상 막아 심근 일부가 괴사되는 경우가 심근경색증이다. 반면, 혈관 내 혈액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가슴에 통증이 생기는 경우는 협심증이다. 심근경색증의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고령, 흡연, 고...2024.10.08
-
성인포트폴리오2024.09.10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 심장은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 중 하나이며, 체내 혈액의 순환을 책임지고 있다. 심장은 골반과 흉부 사이에 위치하며, 평균적으로 성인의 주먹 크기와 비슷하다. 심장은 네 개의 방(4개의 심방과 심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방들은 판막에 의해 구분된다. 심장의 가장 바깥 부분은 심낭이라고 불리는 막으로 싸여있다.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심장은 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의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이 우심방으로 연결되어 정맥...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