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심근경색2024.09.241. 심근경색의 정의 및 특징 1.1. 정의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중 하나""이다.""심장발작이라고도 불리며, 혈전으로 인한 관상동맥의 완전한 폐색으로 발생하는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과 관상동맥의 부분 폐색 등으로 발생하는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으로 분류할 수 있다.""심장의 전기활동이 급격히 변하여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 질환이며 초기 사망률이 10~15%에 이르고, 사망자의 56%가 발병 후 1시간 이내에 병원 밖에서 사망한다. ...2024.09.24
-
STEMI 케이스2024.09.2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의 변화, 생활 습관의 서구화 및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심혈관 및 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현재 연간 총 사망자의 19%인 인구 10만 명 당 43.3명과 56.5명으로 각각 사망원인의 2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듯, 사망원인의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심혈관 및 뇌혈관질환에서도 STEMI(ST 분절 상승 심근경색)는 심장의 전기활동이 급격히 변하여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 질환이며 초기 사망률이 10-15%에 이르고, 사망자의 56%가 발병...2024.09.23
-
혈액 검사의 임상적 의의2024.11.071. 혈액검사 및 생화학 검사의 임상적 의의 1.1. 혈액검사 1.1.1. 일반혈액검사 일반혈액검사는 말초혈액 내 여러 혈구세포의 수와 특성을 확인하는 검사이다. 일반혈액검사에는 백혈구(WBC), 적혈구(RBC), 혈색소(Hb), 적혈구용적(Hct), 적혈구지수(MCV, MCH, MCHC, RDW), 혈소판(PLT) 등이 포함된다. 백혈구(WBC)는 세균감염, 암, 백혈병 등의 진단과 추적 관찰에 활용되며, 세균감염 시 증가하고 골수기능저하 시 감소한다. 적혈구(RBC)는 심한 설사, 탈수, 용혈성 빈혈 등에서 증가하고 빈혈...2024.11.07
-
협심증케이스2024.11.011. 협심증 1.1. 협심증의 정의 및 발생 요인 심장은 크게 3개의 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동맥경화증, 혈전증, 혈관의 수축 및 연축 등의 원인에 의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급성이나 만성으로 협착(수축 등의 원인에 의해 혈관 등의 통로의 지름이 감소하는 것)되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근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이를 협심증이라고 한다. 협심증은 발생과정에 따라 안정형 협심증, 불안정형 협심증...2024.11.01
-
심근경색 간호진단2024.11.261. 서론 1.1. 심장동맥질환의 정의 심장동맥질환은 심근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심근이 요구하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심근에 국소 빈혈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허혈심장질환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허혈심장질환에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증과 같은 질환이 포함되며, 불안정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을 급성심장동맥증후군이라고 한다." 1.2. 심근경색증의 원인과 위험요인 심근경색증의 원인과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심근경색증은 심장동맥이 서서히 좁아지거나 갑자기 막혀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심장동맥 내에 죽경화성 병변이 10~30년...2024.11.26
-
협심증간호진단2024.11.041. 협심증(Angina Pectoris) 1.1. 협심증의 정의 및 중요성 협심증(Angina Pectoris)은 심장 근육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가슴 통증이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공중보건 문제로 자리 잡고 있는 심혈관계 질환이다. 협심증은 주로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의 결과로 나타나며, 가슴 중앙에 느껴지는 압박감, 쥐어짜는 듯한 통증 등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증상은 주로 신체 활동이나 정신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발된다. 협심증은 심근경색(Myocar...2024.11.04
-
응급실 심근경색 사례브리핑2024.09.061.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간호 1.1. 일반적 사항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일반적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응급실이나 병동에 내원한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는 흉통, 발한,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경색 발병 후 3시간 이내에 내원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60-70세로 남성의 비율이 더 높으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심혈관계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과거에 관상동맥질환이나 심근경색의 병력이 있는 경우도 많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는 금연,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2024.09.06
-
Vsim Carl Shapiro2024.08.241. 서론 1.1. 심근경색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요 심근경색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요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 대한 간호 실무를 실제와 유사하게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현된 가상 상황이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심근경색 환자의 진단, 평가, 간호중재, 합병증 관리 및 심리적 간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실습을 수행할 수 있다. 시나리오에서는 54세 남성 환자 Carl Shapiro가 급성 심근경색을 진단받고 병원에 내원한 상황을 다룬다. 이를 통해 간호사들은 심근경색의 발생 원인과 위험 요인, 증상 및 징...2024.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