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개
-
시뮬레이션 시나리오2024.09.111. 환자 사정 1.1. 활력징후 측정 간호사들은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활력징후는 환자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생리적 지표로, 기본적으로 혈압, 체온, 맥박, 호흡수를 측정한다. 먼저 혈압은 심장이 수축할 때의 최고치인 수축기 혈압과 심장이 이완할 때의 최저치인 이완기 혈압으로 구성된다. 정상 성인의 혈압 범위는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이완기 혈압 80mmHg 미만이다. 혈압이 높으면 심혈관계 합병증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관리가 필요하다. 체온은 건강한 성인의 경우 보통 36....2024.09.11
-
심전도2024.10.141.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1.1. 정의와 목적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시간 경과에 따라 기록한 것이다. 심장은 심장벽을 구성하는 근육이 자극전도계의 전기적 자극을 받아 규칙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몸표면의 전극에서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심전도이다. 심전도의 주요 목적은 심장 기능 및 리듬 장애를 진단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심전도 검사를 통해 심장의 리듬 장애, 심근 손상, 전해질 불균형, 약물의...2024.10.14
-
울혈성심부전2024.09.301. 울혈성 심부전 개요 1.1. 정의 및 병태생리 울혈성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기능이 장애가 발생하여 인체의 대사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상적인 충분한 압력으로 적절한 양의 혈액을 박출하지 못하는 심부전 증상이다. 울혈성 심부전은 대부분 정맥계 울혈로 인한것이며 심근장애, 심실의 수축력장애, 심한 전해질 장애, 리듬장애에 의해 발생된다. 울혈성 심부전은 심장펌프에 가해지는 비정상적인 기계적, 기능적 장애로 인해 발생되어 순환계 전반에 혈액역학적인 불균형을 야기하여 이로인해 심부전이 발생한다. 이로인해 불충분한 양의 혈액이 박출...2024.09.30
-
임상병리 수식2024.10.1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태반조기박리는 심각한 모아 이환율 및 사망률을 초래하는 중요한 임신 말기 합병증이다. 최근 고령임신, 황사 유입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발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전에 태반조기박리가 나타난 산모의 경우 다음 임신에서 재발할 확률이 약 4%로 10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주산기 사망의 약 15%를 차지하며 태아는 조산, 자궁 내 저산소증으로 1/3이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태반조기박리는 모체의 심각한 출혈로 인한 저혈량 쇼크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2024.10.10
-
응급실 간호진단2024.11.071. 울혈성 심부전 1.1. 울혈성 심부전의 정의와 특징 울혈성 심부전의 정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심부전은 인체가 휴식이나 운동할 때 필요한 대사 요구를 충족시킬 만큼 심장이 충분한 혈액을 펌프해내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심부전의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심박출량이 저하되어 폐정맥과 전신정맥은 울혈되고 신체조직은 산소가 부족하게 된다. 정맥계의 울혈을 초래한다고 하여 울혈성 심부전증이라 한다." 울혈성 심부전은 심장이 신체 조직이나 기관에서 필요한 혈액을 공급할 수 없는 병태 생리학적 상태를 초래한다. 이에 따라 심장의 운동...2024.11.07
-
심낭염2024.10.181. 서론 1.1. 심낭염의 정의 및 중요성 심낭염은 심장을 싸고 있는 막인 심낭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심낭염은 심장의 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어 중요한 질환이다. 급성 심낭염의 경우 심낭의 염증으로 인한 가슴 통증이 주된 증상이며, 만성 심낭염의 경우 특이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심낭염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감염성 원인과 비감염성 원인이 있다. 감염성 원인으로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기생충 등이 있고, 비감염성 원인으로는 자가면역질환, 약물, 암,...2024.10.18
-
심근경색 시뮬레이션2024.10.171.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간호 1.1. 환자 사정 1.1.1. 일반 정보 김00님은 60세 남환으로 170cm, 65kg이며 3년 전 처음 고혈압과 당뇨 진단을 받았다. 이번에 새벽부터 체한 듯이 속이 불편하고 가슴이 답답했다고 하며 내원 당일 가슴 통증과 호흡곤란이 심해져 응급실로 내원했다. 김00님의 일반 정보는 다음과 같다. 성별은 남성이며, 나이는 60세이다. 키는 170cm, 체중은 65kg이다. 3년 전부터 고혈압과 당뇨를 앓고 있었다. 이번에 호흡곤란과 가슴 통증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1.1.2. 건강력 건...2024.10.17
-
뇌경색 간호진단2024.11.011. 뇌경색의 개요 1.1. 뇌경색의 정의 뇌경색이란 뇌혈관이 막혀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환을 의미하며, 뇌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를 말한다. 이러한 뇌경색은 뇌 혈전증과 뇌 색전증이 있다. 뇌 혈전증은 혈관벽에 형성된 혈전이 혈관을 막아 발생하고, 뇌 색전증은 다른 장기에서 떨어져 나온 혈전이 뇌혈관을 막아 발생한다. 뇌경색은 뇌졸중의 한 형태로, 크게 허혈성 뇌경색과 출혈성 뇌경색으로 구분된다. 허혈성 뇌경색은 전체 뇌졸중의 약 87%를 차지하며, 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반면, 출혈성 뇌경색은 혈...2024.11.01
-
심부전 체액과다 위험 a2024.10.291. 심부전 환자 사례 연구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만성 심부전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기능이나 짜내는 기능이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가장 흔한 증상은 숨이 차는 것이다. 심부전이 진행될수록 폐와 신체 조직에 서서히 수분이 쌓이게 되어 체액 불균형 및 전해질 불균형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만성 심부전 환자들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만성 심부전 환자의 정보를 바탕으로...2024.10.29
-
심전도의 이해2024.08.151. 서론 1.1. 심장의 전기적 활동과 전기 전도계 심장의 전기적 활동과 전기 전도계는 심장의 리듬을 조절하고 순환을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먼저, 동방결절(SA node, Sinoatrial node)은 심장의 자연 박동조절기(pacemaker)로서 1분에 60회~100회의 전기적 자극을 주기적, 자율적으로 생성한다. 이 전기 자극은 심방의 흥분과 수축을 유발하여 P파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방실결절(AV node)은 심방과 심실을 연결하는 부위에 위치하며, SA node에서 온 전기 자극을 약 0.1초간 지...2024.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