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해부생리학2024.09.221. 뼈의 구조와 분류 1.1. 인체의 뼈 구분 인체의 뼈는 총 20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편의상 몸통 뼈대(체간 골격, axial skeleton)와 팔다리 뼈대(체지 골격, appendicular skeleton) 두 부분으로 나뉜다. 몸통 뼈대(axial skeleton)는 머리, 목, 몸통의 장기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뼈와 연골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몸통 뼈대(axial skeleton)에는 머리뼈(skull), 귓속뼈(auditory ossicles), 목뿔뼈(hyoid bone), 척주뼈(vertebr...2024.09.22
-
부정맥 간호진단2024.11.041. 서론 1.1. 부정맥의 정의와 특징 부정맥은 심장의 전기자극이 잘 만들어지지 않거나 자극의 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심장 근육의 수축이완이 반복되며 나타나는 맥박이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부정맥은 심장으로 혈액을 공급해주는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막히면서 발생하고 이유 없이 수축기능이 소실된 확장성 심근증 환자들의 흔한 원인이다"" 평소에 전혀 증상을 보이지 않다가 첫 증상이 치명적일수 있기 때문에 항상 주의해야하고 바로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1.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발작성 상실성 빈맥(Paroxysmal...2024.11.04
-
생물학 정리 a2024.09.011. 심장 구조 및 기능 1.1. 심장의 구조 1.1.1. 심첨 심첨은 왼쪽 폐 뒤로 나와 있는 심장의 뾰족한 끝부분이다. 심장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심첨은 좌심실이 발달되어 있는 부위이다. 좌심실은 혈액을 대동맥으로 펌프질하는 역할을 하므로, 심첨 부위에 위치한 좌심실은 심장의 가장 강력한 펌프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심첨은 심장의 앞쪽에서 보면 심장 윤곽의 가장 뾰족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심첨의 해부학적 특징은 심장의 펌프 기능 수행에 적합한 구조적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2. 격막 심장의 격...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