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CPR2024.09.071. 심폐소생술 (CPR) 1.1. CPR의 정의와 목적 심폐소생술(CPR)이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이다. 심장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혈액을 순환시켜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마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심장은 온몸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몸의 펌프 역할을 하는데, 심장의 펌프 기능이 중단되면 심장마비가 발생하여 온몸으로의 혈액순환이 중단된다. 신속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이 일어날 수 있는데, 뇌는 혈액공급이 4~5분만 중단되어도 영구...2024.09.07
-
성인간호실습 응급실 사전학습2024.10.051. 의학용어 및 약어 1.1. 약어 용어와 의미 AAA는 'Abdominal aortic aneurysm'의 약어로, "복부 대동맥류"를 의미한다" ACLS는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의 약어로, "전문심장소생술"을 의미한다" ACS는 'Acute coronary syndrome'의 약어로, "급성 관동맥 증후군"을 의미한다" ADI는 'Acute drug intoxication'의 약어로, "급성약물중독"을 의미한다" AED는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2024.10.05
-
심폐소생술 간호 교육안2025.05.311. 서론 1.1. 심폐소생술 교육 필요성 심폐소생술 교육의 필요성이다. 우리나라에서 전체 국민의 1/4이 심장마비 등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다. 심장질환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관상동맥질환자의 62%는 급사 형태의 심정지가 발생한다.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의 생존율은 심정지 현장을 목격한 사람에 의해 빠르고 적절한 심폐소생술 시행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심장이 멎었을 때 4분 이상 경과되면 허혈성 뇌손상이 발생될 수 있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심정지 환자를 목격한 경우 신속히 심폐소생술을 실시해 국민의 생명과 ...2025.05.31
-
Cpr 역할분담2025.06.121. CPR 역할분담 1.1. CPR 정의 및 중요성 심장마비(심정지)는 심장이 펌프 기능이 중단된 상태를 말한다.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온몸으로의 혈액 순환이 중단되기 때문에 바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뇌는 혈액 공급이 4-5분만 중단돼도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심폐소생술은 이러한 정지된 심장을 대신해 심장과 뇌에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공급해주는 아주 중요한 응급처치이다. 심폐소생술은 마비된 상태에서도 혈액을 순환시켜,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마비된 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결...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