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협심증 시뮬레이션2024.09.12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위치와 크기 심장은 좌측 제 3~5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크기는 약 12cm, 무게는 300g 정도이다. 심장은 신체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순환계를 통해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심장은 크게 두 개의 심방(심장 상부)과 두 개의 심실(심장 하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혈액순환을 위한 펌프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심장의 구조와 위치, 크기는 심장 기능을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2. 심방과 심실의 구조 심방과 심실의 구조...2024.09.12
-
생리학 중간 기말 고사 문제 및 필기본 간호학과 2학년 학점 A02024.10.111. 항상성과 물질 이동 1.1. 항상성과 음성 되먹임 기전 생물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며, 내부의 생리학적 균형을 유지하는 과정을 항상성(homeostasis)이라고 한다.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생물체는 자극에 반응하여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기전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음성 되먹임(negative feedback) 기전이다. 음성 되먹임 기전은 특정 변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이를 감지하고 조절하여 원래의 평형 상태로 되돌리는 메커니즘이다. 예를 들어 혈당 농도가 높아지면 이를 감...2024.10.11
-
심근경색 병태생리2024.10.161. 심장의 구조와 생리 1.1. 심방과 심실 심장은 사이막(중격, septum)에 의해 오른심장과 왼심장으로 나뉜다. 이는 다시 심방과 심실로 구분된다. 위쪽인 심방에는 심장으로 귀환하는 혈액이 들어와 아래쪽인 심실로 내려가서 심장 밖으로 나간다. 우심방은 심장의 오른 모서리에 위치하며, 상대정맥과 하대정맥, 심장정맥굴이 들어가는 곳이다. 우심실은 심장 앞면의 대부분과 가로막면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우심방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유입되는 혈액은 수평면상에서 앞쪽으로 흐르게 된다. 좌심방은 뒤...2024.10.16
-
생리학 요점정리2024.10.271. 근육 1.1. 뼈대근육 1.1.1. 뼈대근육의 구조 뼈대근육은 여러 개의 뼈대근육 세포가 연결되어 길이가 긴 근육섬유를 구성하고 있는 형태이다. 뼈대근육의 기본 구조단위는 근육섬유(muscle fiber)이다. 근육섬유는 수많은 근육잔섬유(myofilament)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근육잔섬유는 액틴(actin), 트로포미오신(tropomyosin), 트로포닌(troponin)이라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가는근육잔섬유(액틴섬유, thin filament)와 미오신(myosin) 단백질로 구성된 굵은근육잔섬유(미오신섬유, th...2024.10.27
-
해부학 근육2024.09.101. 근육조직 1.1. 뼈대근육 1.1.1. 뼈대근육의 구조 뼈대근육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뼈대근육(골격근)은 사람 모의 뼈대계통 및 이와 연관된 구조에 부착하는 근육으로, 머리, 목, 몸통 및 팔다리를 이루는 근육이다. 또한 뼈대근육은 혀, 입천장, 인두, 후두 및 식도의 위부분과 같은 일부 내장기관에서도 관찰된다. 하나의 뼈대근육은 여러 개의 근육다발(근속, muscle fascicle)이 모여 형성된 것이며, 각 근육다발은 다시 여러 개의 근육세포[근세포, muscle cell; 근육섬유(근섬유), muscle fib...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