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0개
-
심장계 중환자실 케이스 스터디, 심실빈맥 사례 연구2025.03.201. 서론 1.1. 질병고찰 심실 빈맥은 심실에서 전기적인 이상이 발생하여 심장이 병적으로 빨리 뛰는 상태이다. 정상 심장에서는 SA node에서 흥분이 발생하지만, 심실빈맥의 경우 심실에 회귀 회로가 생기고 이곳에서 흥분이 발생하여 전도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EKG상 QRS complex가 넓게 보이게 된다. 심실 빈맥은 심실수축이 비효율적으로 일어나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된다. 심실 박동이 분당 120회 이상 뛰어 몸 전체로 충분한 혈액을 보낼 수 없게 되어 심박출량 감소, 혈압저하, 실신 등의 증...2025.03.20
-
심전도 리듬2025.01.221. 심전도 리듬 1.1. 정상 심전도 리듬 정상 심전도 리듬은 우심방 상부에 있는 굴심방 결절에서 분당 60~100회의 전기적 자극이 생성되는 것이다. 이 자극이 심방을 통과하면서 심방수축을 유발하고 방실결절에 도달한 뒤 잠깐 지체되었다가 히스속을 타고 양쪽 각을 통해 좌우 심실로 내려가서 푸르킨예 섬유에 전달되면 심실수축이 일어난다. 방실결절에서 전기적 자극이 잠깐 지체하는 동안 심실은 보다 많은 혈액을 채울 수 있다. 굴심방 결절에서 전기적 자극을 일으키지 못한다면, 방실결절에서 분당 40~60회의 전기적 자극을 일으킨다...2025.01.22
-
CPR 및 상기도 확보 (I-GEL) 방법2025.01.301. 심폐소생술(CPR) 1.1. 심폐소생술(CPR)의 정의와 중요성 심폐소생술(CPR)은 심장마비(심정지) 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아주 중요한 응급처치이다.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온몸으로의 혈액순환이 중단되어 뇌 손상이 일어날 수 있는데, 심폐소생술을 통해 심장과 뇌에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공급함으로써 뇌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심폐소생술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심장마비 환자의 생존율이 3배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은 심...2025.01.30
-
소아심폐소생술2024.10.031. 소아 심폐소생술의 개요 1.1. 소아 심정지의 특성 소아 심정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에 비해 소아 심정지의 원인이 다양하다. 소아에서는 심실세동에 의한 심정지보다 호흡부전이나 쇼크 등으로 인한 질식성 심정지가 더 흔하다. 즉, 성인과 달리 소아 심정지의 상당수가 예방이 가능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둘째, 소아 심정지 환자의 5~15%에서만 심실세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소아 심정지 환자는 제세동 처치보다는 기본 소생술, 특히 인공호흡이 더욱 중요하다. 셋째, 소아 심정지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2024.10.03
-
cpr 시나리오2024.10.171. 간호계획(Nursing Plan) 1.1. 대상자 정보 대상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최근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며 휴식 시에도 사라지지 않는 흉통, 발한, 호흡곤란 등을 호소하며 응급실에 내원한 54세 남성 환자이다. 대상자의 과거력으로는 10년 전부터 고혈압을 진단받았으며, 흡연력은 하루 2갑, 음주력은 주 1병의 양상을 보인다. 또한 5년 전 심근경색증 진단 후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바 있다. 현재 투약 중인 약물로는 아스피린과 클로피도그렐이 있다. 신체검사 결과 BMI는 20.76으로 정상범위이며, 활력징후...2024.10.17
-
CAB2024.10.121. 심폐소생술(CPR) 및 자동제세동기(AED) 적용 1.1. 심폐소생술의 이해 1.1.1. 심폐소생술이란? 심폐소생술(心肺蘇生術, 영어: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멈추었을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이다. 심장마비의 경우 신속히 조치하지 않을시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환자를 발견한 목격자가 신속히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인공호흡과 가슴 압박을 통해 심장과 폐 기능을 유지시키...2024.10.12
-
ICD 간호2024.11.131. 서론 응급 상황에서 대상자에게 어떠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았는데 응급상황에 놓인 대상자를 위해 빠르고 정확한 조치를 취해주어야 하는 만큼 관련 응급간호처치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보고자 제세동과 심장리듬전환술의 비교, 기관내 삽관 및 유지 간호에 대해 조사해보기로 하였다. 심실세동과 맥박이 없는 상태를 치료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제세동, 불안정한 빈맥성 부정맥 치료에 활용되는 심장리듬전환술, 그리고 산소공급과 분비물제거, 환기를 확보하기 위한 기관내 삽관 및 유지 간호 등을 살펴봄으로써 응급상황에서...2024.11.13
-
심혈관계 약물 정리2024.11.121. 심혈관계 약물 1.1. 항부정맥제 1.1.1. 항부정맥제의 작용기전 항부정맥제의 작용기전은 심장을 전기 생리학적으로 안정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근 이온통로(Na+, K+, Ca2+ 등)에 작용하여 이들의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부정맥을 억제한다. 첫째, 불응기를 연장시킨다. 불응기는 세포가 활동전위를 일으킬 수 없는 시기로, 이 시기가 길어지면 회귀성 리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둘째, 전도 속도를 감소시킨다. 전도 속도가 느려지면 심실세동과 같은 부정맥의 발생이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기전을 통해 항부정맥제...2024.11.12
-
심정지 사례연구공모전 대상 간호과정 연구2025.03.2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정지는 심장 펌프 기능이 정지하는 것이며 그로 인해 뇌를 비롯한 여러 장기로의 혈액 공급이 중단되어 조직의 기능이 정지되는 상태이다. 이는 최근 사망 및 장애의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급성 심질환 및 순환계 질환의 심각한 합병증이라 할 수 있다. 심정지가 3분 이상 지속되면 뇌 손상이 야기되고 5분 이상 지속되면 사망에 이르게 되므로, 의료인으로서 심정지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 방안을 숙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정지의 원인과 병태생리, 증상, 진단 및...2025.03.21
-
심폐소생술지표2025.02.131. 서 론 사회구조의 변화, 인구고령화, 생활수준과 건강에 대한 의식수준 향상 등으로 인해 응급의료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응급의료체계는 관련된 여러 분야가 유기적으로 결합해서 효과적으로 기능을 하지 않으면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응급의료체계가 한 나라의 의료수준을 가늠하는 지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응급의료체계는 병원 전 단계, 이송단계, 병원단계, 통신체계로 구성되는데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구성,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가슴압박소생술, 심실세동과 무수...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