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부정맥 활동지속성장애2024.10.271. 부정맥의 종류와 특징 1.1. 부정맥의 종류 부정맥의 종류에는 3가지가 있다. 맥박수가 100회 이상으로 지나치게 빠른 것을 빈맥, 맥박수가 60회 이하로 느린 것을 서맥, 맥박수는 분당 60-100번으로 정상이지만 불규칙하게 뛰는 불규칙 맥이 있다"" 1.2. Paroxysmal ventricular tachycardia의 특징 Paroxysmal ventricular tachycardia는 심전도 상 전향성 우회로의 전도에 따른 심실조기흥분과 정상 방실결절을 경유한 전도가 fusion되어 delta파형으로 나타나며, 0....2024.10.27
-
심실세동2024.11.201.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1.1. 정의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은 심실 내 전기적 혼돈 상태의 결과로 생명을 위협하는 다수의 이소성 pacemaker 지점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으로, 매우 빠르고 비정상적인 심실세동파(f파)만 있을 뿐 QRS군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1.2. 원인 심실세동의 주요 원인은 심각한 심장질환, 약물 중독, 전해질 불균형 등으로 볼 수 있다"". 심실세동은 심정지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한다. 관상동맥질환으로...2024.11.20
-
조기심방수축2024.11.081. 심전도 리듬 및 치료 1.1. 심방조동 심방조동은 심방의 어느 한 세포가 흥분하여 심장 수축자극을 반복적으로 빠르게 내보냄으로써 심방수축속도가 250-350회/분에 달하는 부정맥이다. 심전도상 심방수축수는 250-360회/분이며, 심실수축수는 60-150회/분으로 나타난다. 이는 심방의 자극이 방실결절에서 차단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2:1, 3:1, 4:1의 전도 비율을 보인다. 전도 이후의 심실 부위는 정상적으로 전도된다. 심전도 상에서는 기저선의 연속적인 동요와 함께 규칙적이고 톱니나 파도 모양의 조동파...2024.11.08
-
조기심실수축2024.11.281. 조기심실수축, 심실빈맥, 심실세동 1.1. 조기심실수축 1.1.1. 정의 조기심실수축(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은 심실에서 기원하는 조기 심장박동이다. PVC는 동방결절(SA node)로부터 정상적으로 전기적 신호가 도달되기 전에 심실이 정상보다 이른 신호를 보내면서 발생한다. 이러한 조기 신호는 심실근의 전기적인 과민성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심근경색, 전해질의 불균형, 저산소증, 심근증(울혈성 심부전 포함), 지나친 음주, 과도한 카페인 섭취 또는 약물에 의해 발생할 수 ...2024.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