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정신전력 4과2024.09.181. 서론 1.1. 조현병의 정의와 사회적 인식 조현병(schizophrenia)은 정신증(psychosis)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현실을 감각적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판단하며 검증하는 능력에 문제가 생긴 질환을 의미한다. 환각이나 환청, 망상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사고과정의 이상이 특징적이다. 조현병 환자들은 사회성이 떨어지거나 인지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매사에 의욕이 저하되기도 한다. 최근 들어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현병 환자들이 강력범죄의 피의자로 등장할 때마다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되는 부정적인 낙인이...2024.09.18
-
심신미약 감형 반대2024.09.131. 심신미약 범죄자 감형에 대한 논의 1.1. 심신미약 범죄자 감형의 개념과 사례 심신미약 범죄자 감형의 개념은 사물을 변별할 능력이나 의사를 결정할 능력이 미약한 상태에서 범죄를 저질렀다는 이유로 형량을 감경받는 것을 말한다. 이는 형법 제10조에 근거한 제도로, 정신장애나 일시적 정신이상 등으로 인해 책임능력이 감소된 범죄자에게 적용된다. 심신미약 범죄자 감형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부산대 기숙사에 침입해 성폭행을 시도한 남성이 술에 취해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심신미약을 주장하여 징역 3년에 집행유예 처분을 받은 사례...2024.09.13
-
변호인 의견서 음주2024.09.201. 심신미약 주취감경 범죄 감형에 관한 논의 1.1. 심신미약의 정의와 의미 심신미약(心神微弱)은 심신장애로 인하여 사물을 변별할 능력이나 의사를 결정할 능력이 미약한 상태를 말한다. 책임능력이 떨어진다고 보아 대한민국 형법 제10조 2항에 의해 처벌이 감경된다. 형법은 행위자가 합법을 결의하고 행동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불법을 결의하고 행동하였다는 의사형성에 대한 윤리적 비난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전통적 책임개념은 자연인을 전제로 한 것이다. 따라서 "책임 없으면 형벌 없다"는 책임주의 원칙이 단지 법적으로 인격이 부여...2024.09.20
-
나의 무섭고 애처로운 환자들2024.11.051. 정신과 의사 정신감정과 심신미약 1.1. 국립법무병원과 정신과 의사의 역할 국립법무병원은 과거 치료감호소라고 불렸던 시설로, 정신질환을 앓는 범법자들을 수용하고 치료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근무하는 정신과 의사들은 수용자들의 정신감정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정신과 의사들은 수용자들의 정신질환 여부와 심각도를 면밀히 진단하고 평가한다. 이를 통해 범죄와 정신질환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심신미약 여부를 판단한다. 정신감정 결과는 재판부에 제출되어 양형 결정에 중요한 근거로 활용된다. 따라서 정신과 의사의 전문성과 ...2024.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