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경사세2024.09.301. 마르크스의 공산주의 사상 분석 1.1. 마르크스가 주장하는 계급 구조 마르크스는 사회를 단순하게 두 개의 진영으로 나누었다. 즉 자본가와 노동자라는 부르주아와 그들에게 착취받는 프롤레타리아로 나누어져 있다고 여겼다. 생산수단을 가지고 있는 지배집단은 소유자 그리고 그들에 의해 억압받는 다른 계급들로 이루어진 계층구조를 창출하며 그러한 프롤레타리아는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못해 소유자들에 의해 억압받는다고 주장했다. 이 두 계급은 서로 영원한 적대관계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사회를 두 개의 계급으로 나눈 그와 다르게 현대사...2024.09.30
-
주자학 성정론2025.06.111. 주자학 성정론 1.1. 퇴계(退溪) 이황 퇴계(退溪) 이황은 주자학(朱子學)을 계승하여 어느 정도 자기의 입장에서 집대성한 우리나라 거유(巨儒)의 한 사람이다. 그는 이기(理氣)의 본질을 명백히 밝혔으며, 유교 윤리의 이론가이자 실천가이다. 1501년(연산군 7) 11월 25일(음력)경상도 예안현 온계리(현재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고, 생애와 성장 과정을 살펴보면 부친을 일찍 상실하고 홀어머니와 형제들의 사랑 속에서 자랐다. 12세 때 작은 아버지에게 논어(論語)를 배웠으며, 14세 무렵 도연명(陶淵明)의 시를 읽고 좋아했다...2025.06.11
-
사단칠정논쟁2024.12.151. 서론 철학자들에게 있어서 인간에 대한 물음은 가장 보편적이고 근본적인 철학적 과제 가운데 하나이다.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철학자들은 각기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인간이라는 존재를 규정한다. 이러한 인간에 대한 규정의 필요성은 사회 현실을 더욱 적절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이 "四端"과 "七情"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통해 인간의 심리 현상을 분석하였는데, 존재의 문제에 중점을 두고 집착한 서양의 철학과는 달리, 조선시대 성리학은 사회적 인간관계인 윤리를 중심으...2024.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