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정맥주사 부위 부종 간호진단2024.09.201. 정맥 주사 부위의 부종과 관련된 급성통증 1.1. 간호사정 정맥 주사 부위의 부종과 관련된 급성통증에 대한 간호사정은 다음과 같다. 주관적 자료를 수집한 결과, 대상자는 "아파했다"고 호소하였다. 객관적 자료를 살펴보면, 오늘 아침 정맥주입관 폐색을 알리는 알람이 울렸고, 삽입부위에 부종이 관찰되었으며, 주사부위가 붉게 부어 있었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정맥 주사 부위의 부종과 관련하여 급성통증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맥 주사 부위의 부종은 침윤 등 정맥 손상으로 인한 증상일 수 있다. 침윤이 발생하면 수액 주...2024.09.20
-
혈전증2024.10.291. 심부정맥 혈전증 (Deep Vein Thrombosis) 1.1. 정의 심부정맥 혈전증이란 혈전이 심부 정맥에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심부 정맥은 피부에서 보이지 않게 깊이 위치하며 심장과 연결되는 혈관으로, 대부분의 정맥혈이 이 심부 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이 심부 정맥에 혈전이 생기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혈전의 일부가 떨어져나가 폐동맥으로 이동하여 폐동맥 색전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주로 종아리와 허벅지의 정맥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골반이...2024.10.29
-
폐색전증 case study2024.10.011. 폐색전증 1.1. 정의 폐는 몸에 필요한 가스 교환을 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다. 이를 위하여 폐에는 우심실로부터 나오는 폐동맥이 폐 전체에 걸쳐 분지되어 있으며 이후 모세혈관을 지나 가스 교환을 하고 난 후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간다. 이 때, 다리에 위치한 깊은 부위의 정맥(심부 정맥)에 혈전이 생기고 이것이 우심방, 우심실을 경유하여 폐의 혈관으로 이동하여 폐의 혈관을 막은 상태를 폐색전이라 한다. 색전이라는 용어는 혈전이 혈관을 타고 이동하여 체내의 다른 혈관을 막아 일으키는 병적인 상태를 일컫는다. 1.2. 원...2024.10.01
-
폐색전증 문헌고찰 및 분석2024.10.181. 폐색전증 개요 1.1. 정의 폐색전증은 과립물질(고/액체) 또는 공기가 전신 정맥순환에 유입되어 폐혈관을 폐쇄시키는 것이다." 1.2. 병태생리 폐색전증에서는 다리나 골반 부위의 정맥에 있던 큰 혈전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혈류를 타고 폐로 이동하여 폐동맥을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막아버린다."" 막힌 동맥이 작을 경우엔 폐색전증이 가볍게 나타나지만 큰 동맥을 막아버리면 갑작스럽게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드문 경우이지만, 작은 혈전들이 몇 개월이나 몇 년에 걸쳐 폐의 수많은 ...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