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주사제 오투여2024.09.221. 심전도 분석 및 부정맥 1.1. 심전도의 정의 및 구성요소 심전도는 체표면에서 심장의 전기적인 활동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로, 네덜란드 의대 교수인 'Willem Einthoven'에 의해 개발되었다. 심장세포의 탈분극과 재분극으로 형성된 전기적 흐름을 증폭시켜 기록한 것인데, 전기적 흐름의 방향과 전극의 위치에 따라 파형이 달라진다. 심전도에 기록되는 파형은 P, Q, R, S, T, U로 표기되며, 이 중 P파는 심방의 탈분극으로 형성되는 파형이기 때문에 심전도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며 이는 심방수축을 의미한다. 정상 P파...2024.09.22
-
심방세동 사례 연구 분석2024.10.251. 서론 1.1. 문헌 고찰 1.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무게가 약 250~300그램으로 양쪽 폐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 기관으로 2/3가 좌측으로 치우쳐 있으며, 횡경막 위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은 위치상 첨단부(Apex)는 좌측 제 5늑간 부위와 중앙 쇄골선이 만나는 곳이며, 심저(Base)는 제 3늑간 부위에 위치하며 상대 및 하대 정맥이 유입되는 곳이다. 심장조직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심외막(epicardium)은 심장의 가장 바깥 층, 심근(myocardium)은 선 모양의 근섬유...2024.10.25
-
심실조기수축 심실조동2024.10.171. 부정맥의 개요 1.1. 부정맥의 정의 및 종류 부정맥이란 심장의 리듬이 비정상적으로 변하여 심장박동이 불규칙하거나 비정상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부정맥은 크게 빈맥, 서맥, 조기수축으로 나뉘며 각각의 특징이 있다. 빈맥은 심장박동수가 분당 100회 이상으로 증가한 상태를 말한다. 빠른 맥박은 심장 내 비정상적인 전기신호의 발생이나 전달로 인해 발생하며, 심방세동, 심방조동, 심실세동, 동빈맥 등이 대표적인 빈맥 유형이다. 심방세동은 심방에 비정상적인 전기신호가 발생하여 심방의 규칙적인 수축이 이루어지지 않고 심실로 전달되는 ...2024.10.17
-
심부정맥혈전증 간호과정2024.10.141. 서론 서론에서는 심부정맥혈전증과 심방조동 및 세동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를 제시한다. 심부정맥혈전증은 정맥에 혈전이 생겨 정맥 순환이 되지 않아 나타나는 질환이며, 심방조동 및 세동은 심방이 정상적으로 뛰지 못하고 불규칙적으로 뛰어 나타나는 부정맥 질환이다. 이 두 질환은 서로 관련이 깊어 주요 합병증인 폐색전증이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사례연구에서는 심부정맥혈전증과 심방조동 및 세동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합병증 및 치료 등을 종합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2. 심부정맥혈전증 2.1. 정의 ...2024.10.14
-
atrial flutter2025.01.3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대한 부정맥 학회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부정맥 증상인 두근거림을 느낀 응답자가 28.5%로 나타났다. 그러나 병원 방문율은 15.4%에 불과하여, 부정맥 진단 및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인도 심장의 두근거림을 경험했지만 병이라고 생각하지 않아 병원을 방문하지 않았던 경험이 있다. 이에 심방조동을 진단받은 대상자를 통해 심방조동의 치료과정을 관찰하고 간호중재법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심방조동은 분당 250-400회의 빠르고 규칙적인 심방...202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