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아동간호학 실습 활력징후 측정방법2024.10.311. 아동의 활력징후 1.1. 정상범위 1.1.1. 맥박과 심박수 맥박과 심박수는 심장 활동의 지표로 아동의 생리적 상태를 반영한다. 연령에 따른 정상 맥박과 심박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신생아의 맥박과 심박수 범위는 100~180회/분이며, 각성 상태에서는 100~220회/분, 수면 상태에서는 80~160회/분이다. 1주~3개월 영아의 경우 맥박과 심박수 범위는 100~220회/분이고, 각성 상태에서는 100~220회/분, 수면 상태에서는 80~200회/분이다. 3개월~2세 영유아의 맥박과 심박수 범위는 80~150회/분이며...2024.10.31
-
쥐 중추신경 약물2024.11.291. 순환계 및 심장박동 1.1.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 1.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순환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포유류의 경우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심장은 가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양쪽 폐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심장은 2개의 심방(atrium)과 2개의 심실(ventricle)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개의 심방은 얇은 근육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심방이 완전히 이완되면 심방에 있던 혈액이 심실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 두꺼운 근육층을 가진 심...2024.11.29
-
염료희석법 및 적분의 원리 분석2024.11.231. 염료희석법을 이용한 심박출량 분석과 의학적 활용 1.1. 심박출량의 개념과 의의 심박출량은 심장이 단위 시간, 보통 1분 동안 박출하는 혈액의 양으로, 심장이 제대로 혈액을 움직이는 펌프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심박출량은 심박수(heart rate, HR)와 일회박출량(stroke volume, SV)의 곱으로 정의된다. 즉, 심박수가 1분당 심장이 뛰는 횟수이고, 일회박출량이 심장이 1회 박동하였을 때 박출하는 혈액의 양인 것을 보여준다. 심박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크게 심...2024.11.23
-
성인간호학 EICU 패혈증 케이스 연구2024.11.12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대상자를 선정한 이유는 중환자실에 입원한 대상자로서 패혈증(sepsis)에 대한 간호 과정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함이다. 중환자실은 전신관리를 필요로 하는 위독한 급성 기능부전이 있으나 회복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수용하여 24시간 체제로 강력하면서도 집중적으로 치료간호를 하는 병동이다. 대상자인 김OO 님은 sepsis unspecified 와 같은 진단을 받고 2019년 08월 24일 mental state가 drowsy한 상태로 입원하였다. 따라서 이 환자의 상태가 어떻게 진행되어 가는지를 ...2024.11.12
-
ICD 간호2024.11.131. 서론 응급 상황에서 대상자에게 어떠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았는데 응급상황에 놓인 대상자를 위해 빠르고 정확한 조치를 취해주어야 하는 만큼 관련 응급간호처치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보고자 제세동과 심장리듬전환술의 비교, 기관내 삽관 및 유지 간호에 대해 조사해보기로 하였다. 심실세동과 맥박이 없는 상태를 치료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제세동, 불안정한 빈맥성 부정맥 치료에 활용되는 심장리듬전환술, 그리고 산소공급과 분비물제거, 환기를 확보하기 위한 기관내 삽관 및 유지 간호 등을 살펴봄으로써 응급상황에서...2024.11.13
-
nrp2024.08.171. 서론 1.1. 신생아 소생술의 필요성 신생아 소생술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출생 직후 일부 신생아에게는 호흡곤란, 낮은 심박수, 근 긴장도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신속한 처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신생아가 적절한 시간 내에 적절한 소생술을 받지 못하면 뇌손상, 다장기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생아 소생술은 신생아의 생명을 구하고 장기적인 후유증을 예방하는데 필수적이다. 더욱이 미숙아의 경우 폐 미성숙, 저체온증 등의 문제가 있어 만삭아에 비해 소생술의 필요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2024.08.17
-
아동 정상범위2024.09.231. 아동의 활력징후 측정방법 및 정상 범위 1.1. 맥박과 심박수 맥박과 심박수는 아동의 기본적인 활력징후 중 하나로, 아동의 전반적인 건강과 질병 상태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다. 연령에 따라 정상 범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정확한 측정과 해석이 필요하다. 신생아의 정상 맥박 범위는 120~160회/분으로 성인에 비해 매우 빠르다. 아동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점차 느려져 4세에는 80~125회/분, 10세에는 70~110회/분, 16세에는 55~90회/분 수준이 된다. 성인의 경우 남자 50~90회/분, 여자 55~95회/...2024.09.23
-
atrial flutter2025.01.3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대한 부정맥 학회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부정맥 증상인 두근거림을 느낀 응답자가 28.5%로 나타났다. 그러나 병원 방문율은 15.4%에 불과하여, 부정맥 진단 및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인도 심장의 두근거림을 경험했지만 병이라고 생각하지 않아 병원을 방문하지 않았던 경험이 있다. 이에 심방조동을 진단받은 대상자를 통해 심방조동의 치료과정을 관찰하고 간호중재법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심방조동은 분당 250-400회의 빠르고 규칙적인 심방...202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