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심전도 부정맥2024.09.181. 부정맥 1.1.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1.1.1. 동성빈맥 동성빈맥이란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의 한 종류로, 정상 동성 리듬과 동일하지만 심박동수가 빠르게 나타나는 부정맥이다. 동성빈맥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상 동성 리듬과 동일한 형태를 보이지만 심박동수가 100회/분에서 180회/분 사이로 빠르게 나타난다. 둘째, P파는 정상적인 형태를 보이나 T파에 묻혀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셋째, PR간격과 QRS파형은 정상 범위를 보인다. 넷째, 리듬은 규칙적이다. 동성빈맥의 원인은 다양한데...2024.09.18
-
신생아 사정2024.09.301. 신생아 신체사정 1.1. 활력징후 측정 1.1.1. 체온 신생아의 체온은 출생 직후부터 측정하여 관찰해야 한다. 정상 신생아의 체온은 36.5~37.5℃이다. 그러나 출생 직후에는 일시적으로 체온이 낮아지거나 높아질 수 있다. 신생아는 자율신경계와 체온조절기능이 미성숙하여 체온 변화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신생아의 체온은 주의깊게 관찰하고 평가해야 한다. 체온 측정은 일반적으로 액와(겨드랑이)에서 측정하며, 직장 체온계 사용은 직장 천공의 위험이 있어 금기이다. 체온이 38.5℃ 이상이면 고열로 간주하며, 36.5...2024.09.30
-
골격계,근육계,심폐계의 발달2024.10.161. 운동의 생리적 효과 1.1. 근골격계, 소화계, 순환계, 내분비계의 변화 운동을 하게 되면 우리 몸의 근골격계, 소화계, 순환계, 내분비계에 다양한 변화가 나타난다. 먼저 근골격계의 변화를 살펴보면, 운동을 하면 근육이 수축하고 신장되면서 근육의 느낌이 평소와 다르게 느껴진다. 또한 근육량이 늘어나고 골격이 강화되어 전반적인 근골격계가 발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신체의 균형과 안정성이 향상되며, 근력과 지구력이 증가한다. 소화계의 경우, 운동 중 에너지 소모가 증가하면서 소화기관의 활동이 활발해진다. 식욕이 늘어나고 ...2024.10.16
-
심방세동2024.11.111. 서 론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은 임상에서 접하는 지속성 부정맥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69세 이상 노인들에게서는 약 5%가 발견된다. 이는 심방의 수축이 소실되어 여러 부위가 무질서하게 뛰는 질환으로, 이로 인한 심전도 소견은 매우 빠르고 불규칙적인 세동파가 분당 35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만들어 불규칙한 맥박을 형성한다. 심방세동은 주로 고혈압, 승모판 질환, 관상동맥 질환, 심근 허혈, 심근증, 심부전, 선천성 심질환 및 만성 폐질환 등의 기질적인 심장 질환과 동반되지만, 심장에 병이 없거나...2024.11.11
-
신생아 신경계2024.08.281. 신생아 건강 사정 1.1. 초기 신체 사정 1.1.1. Apgar 점수 Apgar 점수는 신생아의 건강 상태를 신속하게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 Virginia Apgar가 개발한 Apgar 평가법은 출생 후 1분과 5분에 신생아의 심박동, 호흡, 반사능력, 근긴장도, 피부색을 관찰하여 각 항목마다 0, 1, 2점을 주어 총점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출생 직후 1분 내에 측정하는 Apgar 점수는 신생아가 자궁 외 생활에 적응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점수가 낮으면 즉각적인 소생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2024.08.28
-
심전도의원리2024.08.311. 심장의 전기적 활동과 전기 전도계 1.1. 심장의 전기 전도계 1.1.1. SA node(동방결절, Sinoatrial node) SA node(동방결절, Sinoatrial node)는 정상적으로 심박동을 시작하는 부위로 박동조율기(pacemaker)라고 불린다. SA node는 우심방과 상대정맥의 경계부에 위치하며, 분당 60-100회로 심박동을 조율한다. SA node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조절을 받아 심박동수를 조절한다. 만약 SA node에 문제가 생기면 하부의 다른 pacemaker가 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