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신생아 TOF 수술후 간호과정2024.09.221. 서론 1.1. 팔로네 징후의 정의 팔로네 징후는 심실 중격을 이루고 있는 두꺼운 근육이 폐동맥부위로 옮겨가면서 심실 중격 결손을 만들고 폐동맥협착을 초래하는 심장질환이다. 이로 인해 대동맥이 우심실 쪽으로 약간 옮겨오게 되고 우심실은 높은 압력으로 인해 비대해지며, 우심실 유출로 협착, 대동맥 우전위, 심실중격결손증, 우심실비대의 4가지 대표적인 특징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우심실의 혈류가 정상적인 경우 폐동맥으로 흘러가야 하나, 우심실 유출로 협착이 있어 폐동맥으로 잘 나가지 못하고 심실중격결손을 통해 대동맥으로 직접 흘러...2024.09.22
-
ASD closure 케이스2024.09.20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이 환자의 심방중격결손증에 대한 실습을 통해 선천성 심장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간호중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방중격결손증은 전체 선천성 심장병의 4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질환이다. 환자의 연령이나 심한 정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심방중격결손증에 대한 이해와 함께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사정하고 이에 대한 간호중재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2024.09.20
-
TOF 케이스2024.10.051. 개요 1.1. 팔로네 징후(TOF)의 정의 팔로네 징후(Tetralogy of Fallot, TOF)는 심실 중격을 이루고 있는 두꺼운 근육이 폐동맥부위로 옮겨가면서 심실 중격 결손을 만들고 폐동맥협착을 초래하는 심장질환이다. 이로 인해 대동맥이 우심실 쪽으로 약간 옮겨오게 되고 우심실은 높은 압력으로 인해 비대해지게 되며, 이 네 가지 주요 소견으로 인해 "4징"이라고 불리고 있다. 즉, 팔로네 징후는 우심실 유출로 협착, 대동맥 우전위, 심실중격결손증, 우심실비대의 4가지 특징을 보이는 선천성 심장기형을 말한다. 우심실...2024.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