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특수처치2024.12.131. 심근증(Cardiomyopathy) 1.1. 정의 및 원인 심근증은 심근의 구조적, 기능적, 능력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주는 질병을 총칭하는 용어로, 심장근육의 기능장애이다. 심근증은 특별한 원인 없이 심실확대와 기능저하가 특징이며, 1995년 WHO에 의해 확장성 심근증, 비후성 심근증, 제한성 심근증 등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되었다. 심근증의 원인은 크게 원발성과 2차성으로 나눌 수 있다. 원발성 심근증은 특발성으로 원인 불명이나, 2차성 심근증은 허혈, 염증성 질환, 독성 물질 노출, 결합조직 장애, 대사 장애, 영양 ...2024.12.13
-
심장눌림증2024.11.151. 심내막염 1.1. 정의 심내막염은 보통 세균 감염으로 인하여 심내막에 염증성 변화가 온 것을 말한다. 건강한 사람은 치과치료나 수술을 받을 경우 일시적으로 세균이 혈액 속으로 유입될 수 있으나 대부분 곧바로 제거되어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심장 판막에 병이 있거나, 인공판막 또는 선천적으로 심장구조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쉽게 세균이 손상된 심내막이나 판막에 들러붙어 세균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렇게 심장 조직에 자리 잡은 세균은 집단을 이루고 자라게 되며 지속적으로 조금씩 떨어져 나가 세균혈증을 일으키고 ...2024.11.15
-
심방2024.10.211. 심방세동 1.1. 정의 심방세동이란, 임상에서 접하는 지속성 부정맥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써 69세 이상 노인들에게서는 5%가 발견된다. 심방세동은 심방의 수축이 소실되어 여러 부위가 무질서하게 뛰는데, 이에 대한 심전도 소견은, 매우 빠르고 불규칙적인 세동파가 분당 35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만들고, 이로 인하여 불규칙한 맥박을 형성하는 질환이다. 심장은 좌우 심방과 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돼 있어 정상적으로는 심방에서 발생한 전기적 자극이 1:1 비율로 심실에 전달된다. 통상 분당 60~100회의 ...2024.10.21
-
조영제로 인한 심정지2024.08.231. 서론 1.1. 심장질환의 중요성 심장질환은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건강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심장질환은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며, 전 세계적으로 심혈관 질환은 가장 주요한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심장질환은 크게 관상동맥질환, 부정맥, 판막질환, 심근증 등으로 분류된다. 관상동맥질환은 대표적인 심장질환으로,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으로 인한 혈액 공급 장애로 심근 허혈이 발생하여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부정맥은 심장의 전기...2024.08.23
-
CCU 허혈성 심근증2025.01.081. 심근질환 1.1. 심근경색증 1.1.1. 정의 및 병태생리 심근경색증은 심장 근육 부분이 급격하게 메말라 죽는 질병으로, 주로 관상동맥이 막혀 발생한다"이다. 관상동맥은 심장 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으로, 이 관상동맥이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흡연 등의 원인으로 죽상경화증이 진행되어 급성으로 혈전이 생기면 심장 근육의 일부가 파괴(괴사)되어 심근경색증이 발생한다"이다. 관상동맥이 막히면 심장 근육으로의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그 부위의 심근이 괴사되는데, 이때 괴사된 부위에 따라 전벽 심근경색증, 하...2025.01.08
-
심혈관2024.08.281. 심혈관 질환 개요 1.1. 서론 심혈관 질환은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건강 문제 중 하나이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인간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심혈관 질환에는 선천성 심장 기형과 후천성 심장 질환이 포함된다. 선천성 심장 기형은 출생 시부터 심장의 구조적 문제가 있는 상태를 말하며, 대표적으로 심실 중격 결손, 폐동맥 협착증, 대혈관전위증, 대동맥 협착증 등이 있다. 후천성 심장 질환은 생애 중 발생하는 심장 질환으로, 허혈성 심장 질환, 감염성 심내막염, 류마티스성 심질환, 심근...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