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인체구조 심장2024.09.261. 심장의 구조 1.1. 심장의 일반적 특징 심장은 근육으로 이루어진 근육기관이다. 심장은 원추형의 근육기관으로 흉강안의 종격동에 위치하며, 심장의 약 2/3는 가슴 중앙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있다. 심장은 서양 배를 엎어놓은 모양이며, 위쪽이 조금 넓고 아래쪽이 조금 뾰족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심장의 바닥은 위쪽에 있고 꼭대기는 아래쪽에 있으며, 왼쪽 심장이 오른쪽 심장보다 더 강하게 박동하기 때문에 심장 소리를 들을 때는 흉골 안쪽에서 청진기로 들으면 박동을 더 크게 들을 수 있다. 심장은 목부터 시작해서 엉덩이까지 연...2024.09.26
-
열린사슬운동과 닫힌 사슬운동2024.10.071. 근수축의 기본 메커니즘 1.1. 근수축의 단위 1.1.1. 근섬유와 근원섬유 근섬유와 근원섬유는 근수축의 기본 단위이다. 근섬유는 단일 골격근세포로, 근육을 구성한다. 근섬유의 지름은 10~100㎛ 정도이며, 근수축의 단위인 근원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근원섬유의 지름은 약 1㎛로, 굵은 필라멘트와 가는 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다. 굵은 필라멘트는 미오신 단백질로, 가는 필라멘트는 액틴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근원섬유의 배열과 구조가 근수축 메커니즘의 기본이 된다. 1.1.2. 굵은 필라멘트와 가는 필라멘트 굵...2024.10.07
-
성인포트폴리오2024.09.10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 심장은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 중 하나이며, 체내 혈액의 순환을 책임지고 있다. 심장은 골반과 흉부 사이에 위치하며, 평균적으로 성인의 주먹 크기와 비슷하다. 심장은 네 개의 방(4개의 심방과 심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방들은 판막에 의해 구분된다. 심장의 가장 바깥 부분은 심낭이라고 불리는 막으로 싸여있다.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심장은 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의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이 우심방으로 연결되어 정맥...2024.09.10
-
해부생리학 심장혈관계통 문제2024.10.211. 인체의 심혈관계 기능과 질병 1.1. 심장의 해부생리 심장은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장기 중 하나로, 체내 혈액 순환을 담당하여 모든 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심장은 네 개의 방실(심방과 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규칙적인 박동을 통해 혈액을 순환시킨다. 심장의 해부생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심장의 자극전도계통은 심장의 규칙적인 박동을 조절한다. 심장의 자극전도계통은 동방결절(SA node), 방실결절(AV node), 방실다발(His 다발), 푸르킨예 섬유로 구성된다. 동방결절...2024.10.21
-
인체생리학 호흡2024.09.301. 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1.1. 호흡기의 해부학적 구조 호흡기의 해부학적 구조는 크게 상기도와 하기도로 구분된다. 상기도는 코, 비강, 인두, 후두까지이고, 하기도는 기관, 기관지 및 폐로 구성되어 있다. 호흡기계는 기능에 따라 전도영역과 호흡영역으로 구분된다. 전도영역은 공기의 통로가 되는 부분으로 코, 비강부터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 및 종말세기관지까지 포함되며, 가스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부위이다. 호흡영역은 호흡세기관지, 폐포관, 폐포낭 및 폐포로 구성되며, 실제로 가스교환이 일어나는 곳이다. 비강은 혈관과 점...2024.09.30
-
심부전 간호진단2024.10.09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구조 1.1.1. 심방과 심실 심방은 혈액이 들어오고 나가는 부분으로 우심방과 좌심방으로 나뉜다. 우심방은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을 통해 정맥혈을 받아들이고, 삼첨판막을 통해 우심실로 보낸다. 좌심방은 4개의 폐정맥을 통해 산소화된 혈액을 받아들이고, 승모판막을 통해 좌심실로 보낸다. 심실은 혈액을 펌프질하여 전신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우심실은 정맥혈을 폐로 보내고, 좌심실은 동맥혈을 전신으로 보낸다. 심실벽의 두께는 우심실보다 좌심실이 두껍다. 1.1.2. 판막 심장에는 방실판막(tri...2024.10.09
-
성인간호학심장구조와기능2024.11.091. 심장의 구조 1.1. 심장의 위치와 크기 심장은 좌측 제3~5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있는 근육기관으로서 신체의 중심선에서 좌측에 치우쳐 있다. 크기는 약 12cm 정도의 성인의 주먹만하며 무게는 약 300g 정도이다. 심장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심장은 좌측 제3~5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한다. 즉, 심장은 흉곽의 중앙부에 있는 장기로,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이 연결되는 우심방 부위가 약간 오른쪽에 있고, 좌심실의 심첨부가 앞쪽을 향하고 있다. 심장의 위치는 좌측 흉곽 내에 있으며, 상하로는 제2~제...2024.11.09
-
비정상 심전도2024.11.081. 심전도의 이해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1. 심장의 기본적인 구조 심장은 골격근과 유사한 점이 많은 특수한 심근 섬유로 짜여진 근육이다. 정상 심장은 각자의 움켜진 주먹 2개 정도(무게는 250 ~ 300g)의 크기이다. 두 겹의 심낭막(심장막)에 싸여 있으며 횡격막의 위에 있고, 기관·식도·하대정맥의 앞쪽과 폐 사이에 위치한다. 앞쪽은 흉골과 늑골에, 옆쪽은 흉막에 단단히 붙어 있다. 심장을 싸며 심장과 붙어 있는 부분을 장측 심낭막이라 하고, 폐와 경계를 이루는 부분을 벽측 심낭막이라고 한다. 이 두 막 사이...2024.11.08
-
폐부종을 동반한 울혈성 심부전 문헌고찰2024.11.301. 울혈성 심부전 1.1. 정의 및 원인 1.1.1. 정의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CHF)은 심박출량의 감소로 체내조직의 대사 요구를 충족할 수 없고, 조직 혈류량은 감소되고 폐혈관 및 전신 정맥계에는 울혈이 초래되는 것이다. 심부전이란 심장이 펌프기능 장애를 일으켜 조직과 장기가 필요로 하는 산소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박출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심장 기능에 영향을 주는 선천성, 후천성 혈관계의 거의 모든 질환의 결과로 오는 복잡한 임상 증상으로, 심장질환의 최종 단계이다. 1...2024.11.30
-
심장초음파 일반촬영 두개부 요약2024.10.171. 심장의 해부생리 1.1. 심장의 구조 심장은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 정도의 크기이며 성인의 주먹 크기만 하다. 심장은 세로칸(종격동)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래쪽에는 가로막(횡경막)이 있고, 가로막 위에 심장끝(심첨, apex)이 앞쪽을 향하고 있다. 심장의 기저부(base)는 약 3번째 갈비뼈 정도에 위치한다. 심장은 좌우 사이막(중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이 있으며,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한다. 박동 시 1회 70ml 정도의 ...202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