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0개
-
심생전2024.09.101. 작품 개요 1.1. 작가 이옥 소개 이옥(李鈺)은 1760년 영조 36년에 태어났다. 본관은 전주이며 태종의 둘째 아들 효령대군의 후손이다. 호는 경금자(絅錦子), 매화외사(梅花外史) 이외에도 여러 개를 썼으며 자는 기상(其相)이다. 이옥 가문은 5대조 이경유(李慶裕)와 그의 형 이경록(李慶祿)이 무과에 급제하면서 문관(文官)에서 무관(武官)으로 전신한 집안이다. 이경유가 본처와의 사이에 아들을 두지 못해 서자 이기축(李起築)이 대를 이었으며 기축 역시 무과에 급제하고 기축의 아들로 이옥의 증조부가 되는 만림(萬林)도 무과에...2024.09.10
-
성리학의 영향2024.11.091. 성리학의 도입과 발전 1.1. 성리학의 개념과 특징 성리학의 개념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성리학은 공자의 유학을 계승하고 개혁하여 등장한 학문이다. 시작은 중국에서 일어났으며, 그 시초를 멀리 보면 왕안석이 공자의 구학을 반대하면서 내세운 신학과 사마광 등이 왕안석의 신학을 반대하면서 내세운 학문이 원조이고, 후에 송대에 가서 주희의 주자학으로 정리되었다. 성리학은 고려 말기부터 우리나라에 들어왔으나 김부식에 의해 금지되었고, 조선이 들어서면서 숭유억불 정책이 시행되면서 다시 발전하게 되었다. 성리학은 유학의 뿌리에서 나...2024.11.09
-
정약용과 놀아요2024.10.161. 정약용과 박지원의 생애와 사상 1.1. 정약용의 생애와 업적 1.1.1. 정약용의 성장배경과 관직 생활 정약용은 1762년 경기도 광주(현재의 양주군 조안면 능내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진주목사 정재원이었으며, 해남 윤씨 가문 출신인 어머니를 두었다. 정약용은 4남 2녀의 장남으로 태어났고, 유복한 가정환경에서 자랐다. 정약용의 가문은 남인계열의 대표적인 명문가문이었다. 어려서부터 정약용은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아버지는 학식과 행정 능력이 뛰어난 관리였다. 정약용은 어머니도 고산 윤선도의 후손이라는 ...2024.10.16
-
박지원 열하일기 독후감2024.08.191. 서론 1.1. 문헌 소개 '열하일기'는 박지원이 1780년(정조 4년) 청나라 건륭제의 70세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중국 북경(당시 연경)을 방문한 여행기를 담은 문헌이다. 박지원은 사절로서 참가한 이 여행에서, 정조의 부마이자 화평옹주의 남편인 금성위 박명원의 사절단에 합류하게 되었다. 사절단은 중국의 여러 지역을 여행하며 교류하고 유람하며 서적을 입수하는 등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여행의 목적은 연경이었으나 건륭제가 피서 산장에 머물고 있어 결국 산장인 열하(러허강)까지 여정이 이어졌다. 박지원은 이 과정에서 힘들었던 여...2024.08.19
-
다산,그에게로 가는길2024.11.121.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1. 정약용의 생애 정약용은 1762년(영조 38년) 6월 16일 서울 근교의 마재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아버지 정재원은 진주목사로 봉직하였고, 정약용은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를 따라 관리로서의 자질과 역할을 자연스럽게 학습하였다. 4세 때부터 천자문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6세에는 이미 경전을 읽을 수 있었다. 1767년 정재원이 연천에 현감으로 가면서 정약용도 함께 갔는데, 이때부터 그는 관리들의 업무에 대해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배웠다. 1776년, 정약용은 15세의 나이에 부친을 따라 서울...2024.11.12
-
다산, 그에게로 가는길 독후감2024.11.121. 소개 이 책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최고의 학자이자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의 마지막 질문을 다루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논어》를 깊이 있게 다루면서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철학을 체계적으로 펼쳐 보인다. 특히 《논어》의 첫 편인 '학이(學而)'편에 주목하여 평생 학습과 성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다산 정약용은 정조 때 신유교옥에 연루되어 강진(옛 지명 다산)에 18년간 유배 생활을 했지만, 그 기간 동안에도 끊임없이 공부하고 저술 활동을 전개하였다. 《논어》에 대한 그의 깊이 있는 해석과 통찰은 '논어고금주'라는 저서에 ...2024.11.12
-
조선의 역사와 철학의 모험 서평2025.03.271. 서론 1.1. 책의 주제와 내용 이 책은 조선시대의 역사와 철학을 다루고 있다. 저자는 역사에 철학적 관점을 도입하여 조선시대의 흐름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훈구와 사림, 붕당정치, 당파 경쟁, 세도정치 등의 주요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을 중심으로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는 기존의 역사 서술 방식이 단순 사실 나열에 그치는 한계를 지적하며, 철학적 분석을 통해 역사의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역사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이해를 제공하고 있다. 저자는 역사와 철학의 결합을 시도하여 ...2025.03.27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재 동서양고전의 이해 내용중 박지원의 연암집의 지은이 소개부터 본문 및 원문의 내용을 읽고 독후감을 A4 3장으로 제출하시오2025.03.041. 연암 박지원 소개 1.1. 생애 박지원은 1737년 서울에서 태어난 인물로 조선 후기에 활동한 학자이다. 당시 시학의 한 조류였던 북학 운동을 주장한 인물이었다. 북학 운동은 성리학을 인정하되 청의 기술 문명을 받아와 나라를 발전시키고자 한 논리였다. 농경사회에서 상공업 사회로 발전하는 것을 도모하기 위함이었다. 박지원은 18세부터 글짓기를 본격적으로 학습하기 시작했으며, 하층민의 삶을 주로 다루는 단편소설집을 집필하기도 했다. 1761년 25세에 성균관 시험에서 장원으로 뽑혔으나 과거에 뜻이 없어 답안을 제출하지 않았다...2025.03.04
-
한글운동 식민사관2024.09.071. 일제 식민지교육의 목적과 방법, 특성 1.1. 시대적 배경 일제는 법적으로는 일본제국 신민으로서, 사상적으로는 일선동조론에 의해서, 교육적으로는 동화교육을 통해서 한국의 비민족화를 획책하였다. 경제적으로는 가장 저열한 단계의 노동만을 강요하고 온갖 자원을 갈취하였다. 문화적으로는 고유한 말과 글을 빼앗고, 그들의 신을 강요했는가 하면 대대로 내려온 성과 이름조차도 바꾸게 하였다. 군사적으로는 헌병을 동원하여 폭압을 휘두르고 수많은 젊은이를 전쟁터로 내몰아 죽게 했으며, 수십만 여성을 위안부로 동원하여 성을 착취하였다. 요컨대...2024.09.07
-
목민심서 서평2024.12.311. 다산 정약용과 『목민심서』 1.1. 다산 정약용의 생애 1.1.1. 출생 이후 과거 준비 시기 다산 정약용은 출생 이후 부친의 임지인 전라도 화순, 경상도 예천 및 진주 등지를 따라다니며 부친으로부터 경사(經史)를 배우면서 과거시험을 준비하였다. 16세가 되던 1776년에는 이익의 학문을 접할 수 있었는데, 이때 부친의 벼슬살이 덕택에 서울에서 살게 되어 문학으로 세상에 이름을 떨치던 이가환과 학문의 정도가 상당하던 매부 이승훈이 모두 이익의 학문을 계승한 것을 알게 되었고, 자신도 이익의 유서를 공부하게 되었다. 이는 정...2024.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