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교재및 문형선정2024.09.211. 교재 및 문형 선정 1.1. 교재 정보 1.1.1. 세종한국어 3 '세종한국어 3'은 국립국어원 세종학당재단에서 출간한 한국어 교재이다. 이 교재는 2021년 3월 8일에 출판되었으며, 저자는 김정숙, 이해영, 박선희, 이준호, 장미라, 최은지이다. '세종한국어 3'은 국외 한국어·한국문화 교육기관인 '세종학당'을 지원하는 공공기관인 세종학당재단에서 편찬한 교재로, 그 구성과 내용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이유로 이 교재가 선택되었다. 1.1.2. (바로배워 바로 쓰는) 세종학당 한국어 3B (바로배...2024.09.21
-
한국어 교실에서 말하기/듣기/읽기/ 쓰기 교육은 분리형 수업과 통합형 수업 중 어느 방식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지2024.10.211. 서론 1.1. 한국어 교육에서 통합 교육의 필요성 한국어 교육에서 통합 교육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의 목적에 따라 한국어 교육방식에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에 맞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많은 교육과정이 연구되고 있지만 실제로 학습자에게 가장 효율적이면서 쉽게 이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도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의사소통이 중심이 되는...2024.10.21
-
효과적인 발음 교육을 위한 피드백 방안2024.10.081. 발음 교육에서 피드백의 역할과 중요성 1.1. 발음 교육에서 피드백의 중요성 발음 교육에서 피드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사는 학습자의 발음 오류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를 피드백하여 학습자의 발음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가 학습자의 발음 오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1.2. 모든 오류에 대한 피드백의 한계점 모든 오류에 대한 피드백의 한계점은 학습자에게 지나치게 많은 정보를 제공하여 오히려 학습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학...2024.10.08
-
-느라고2024.10.121.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 1.1. 모어 화자 대상 문법 체계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체계의 차이 모어 화자 대상 문법 체계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체계의 차이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모어 화자에게는 자신의 언어가 자연스럽게 습득되어 문법에 대한 명시적인 지식이 필요하지 않지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체계적인 문법 교육이 필수적이다. 모어 화자의 경우 문법 규칙을 알지 못해도 자신의 언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지만, 외국어 학습자들은 문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발화에 어려움을 겪...2024.10.12
-
효과적인 한국어발음 교육방안2024.11.261. 효과적인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1.1. 서론 1.1.1. 교수 대상 교수 대상은 중급 이상의 영어권 학습자이다. 중급 이상의 영어권 학습자는 한국어에 있는 평음-유기음-경음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아 세 음이 혼란을 보이며 평음은 유기음이나 경음으로, 경음은 유기음으로 발음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모음에서는 'ㅗ'가 'ㅓ'처럼, 'ㅓ'가 'ㅗ'처럼, 'ㅡ'는 'ㅣ'나 'ㅓ'처럼 발음되는 오류가 관찰된다. 1.1.2. 학습자의 특징 영어권 학습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영어권 학습자는 한국어에 있는 평음-유기음-경음의 구별이...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