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한국어문법교육론 (으)ㄹ게요2024.11.201. 한국어 문법과 의사소통 수업 설계 1.1. 초급 한국어 문법 학습 목표 및 방법 1.1.1. '-(으)ㄹ게요' 문법을 활용한 여행 준비 대화 실습 '-(으)ㄹ게요' 문법을 활용한 여행 준비 대화 실습은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여행 준비 상황에서 약속하는 문장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수업 도입 부분에서 교사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호텔과 옷 그림을 제시하며 학생들에게 여행 준비에 대해 질문한다"" 학생들은 호텔 예약과 옷 준비 등의 답변을 하면서 '-(으)ㄹ게요' 문법을 사용하여 말할 수 있다고 답변한다"...2024.11.20
-
초등 세안2024.12.211. 수학과 교육실습 수업 지도안 1.1. 단원의 개관 제 4차 산업혁명을 살아나갈 인재를 기르기 위해서는 단편적인 수학적 지식이나 결과의 강조가 아니라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과정과 자신의 수학적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게 하여야 한다. 수학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습 방법과 학습 내용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자발적인 학습 동기와 활발한 지적 구성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수업이 필수적이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수학과의 성격'에서는 수학이 모든 학...2024.12.21
-
세안2024.10.131. 2020학년도 수업실습 교육실습생 세안 수학과 교수 1.1. 단원명 및 개관 제 3단계 수학과 단원인 '3. 덧셈과 뺄셈'은 1학년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수의 의미를 알게 되고, 수를 세거나, 모으거나 가르는 경험을 통해 수의 구조와 관계를 점차 알게 되는 내용이다. 학생들은 첨가, 합병, 제거, 비교 등의 다양한 실생활 상황 속에서 이야기를 만들어 보고 직접 합하거나 덜어 내는 활동을 통해 덧셈과 뺄셈이 필요한 상황과 의미를 이해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구체물, 말, 식, 그림 등을 사용하여 ...2024.10.13
-
한국어교재및문형선정2025.04.081. 한국어교재 및 문형 선정 1.1. 교재 선정 교재 선정을 위해서는 교재의 체계와 내용,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 사항, 교육 환경과 교사의 특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개발한 교재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재의 신뢰성과 적합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세종한국어' 시리즈는 국립국어원과 세종학당재단이 공동으로 개발한 교재로, 우수한 교육 콘텐츠와 체계적인 구성을 갖추고 있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2022년 전면 개정된 '세종한국어 2A'는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며, 문법 항목 선정과 체계적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