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의 전개 과정과 모스크바 3상 회의의 결정에 대한 찬성 입장에서의 주장과 근거2024.09.191.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1.1.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 1.1.1. 개요 1862년 농민봉기의 임술년 농민봉기는 1862년(철종 13년) 조선 전국에서 일어난 농민 항쟁이다. 당시 조선은 임진왜란 이후에도 지속된 체제의 불안정과 불합리한 세금 징수, 양반들의 부패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로 인해 농민들의 생활이 어려워지고 불만이 커져갔다. 봉기는 1862년 3월 4일 단성민란으로 시작되었으며, 3월 14일에는 진주민란으로 확산되어 삼남 지방과 일부 중부·북부 지역에서도 봉기가 일어났다. 농민들은...2024.09.19
-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찬성2024.09.191. 1862년 농민봉기 1.1.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9세기 들어 조선의 삼정(田政·軍政·還政)이 문란해지면서 농민들의 생활이 어려워졌다. 특히 각종 명목으로 부담하던 세금이 늘어나 백성들의 삶이 궁핍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1862년(철종 13년) 2월 4일 진주 인근 단성이라는 작은 고을에서 처음 봉기가 일어났다. 농민들은 무리 지어 진주 읍내에 모여 서리들의 가옥을 부수고 불태웠는데, 이는 훗날 더 큰 농민봉기로 이어지게 되었다. 진주 농민봉기에 이어 3월에...2024.09.19
-
책을 선정한 이유2024.09.291. 해방공간과 점령기 한국 사회 1.1. 해방 이후 미군정의 점령과 한국 사회 해방공간의 한국 사회는 일본 제국주의로부터의 해방과 미국의 군사점령이라는 이중적 상황에 놓여 있었다. 1945년 8월 15일 한반도가 해방을 맞이하면서 한국인들은 새로운 국가건설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했다. 그러나 곧바로 38선을 경계로 한반도가 분할되면서 미군정(美軍政,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이 수립되었다. 미군정은 한반도 문제를 자신의 이해관계에 맞추어 해결하고자 했으며, 이는 한국인들...2024.09.29
-
6.25전쟁2024.09.281. 서론 1945년 8월 15일 정오 일왕의 항복방송 직후에 독립을 이루어 냈다는 기쁨도 잠시, 남북한이 미국과 소련의 신탁통치로 인해 분단되어 진 것은 해방일이 이민족에게서 해방된 기쁨의 기념일인 동시에 분할점령에 의한 남북한 분단의 시초가 된 날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이러한 '양날의 검'의 형태를 띤 해방이 결국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류 최대의 전쟁이자, 세계 역사상 여섯 번째로 참혹한 전쟁인 6.25전쟁까지 이어져 일제의 침략 이래로 한국은 한차례 더 민족적 비극을 겪고 말았다. 1945년 8월 15일 ...2024.09.28
-
1945년 해방 이후 미국과 소련의 임시정부 구상2024.10.311. 해방 이후 한국 현대사의 전개 1.1. 건국준비위원회와 조선인민공화국 1945년 8월 초 일본의 패배가 확실해지자 조선총독 아베 노부유키는 한국의 민족지도자를 찾아 한국인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협상대상자로 삼고자 하였다. 이때 건국 준비를 위한 민족의 대표기관과 정치세력 형성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던 여운형이 이에 동조하면서 협상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미 1944년 8월 10일 비밀리에 '건국동맹'이 조직되었고 1945년 8월 15일 해방이 되었을 때 조선건국준비위원회(건준)를 발족하게 된다. 건준의...2024.10.31
-
해방 이후 미ㆍ소의 대한정책과 남한 정부 수립2024.10.311. 해방 전후 정치 상황 1.1. 조선건국준비위원회 1945년 8월 초 일본의 패배가 확실해지자 조선총독 아베 노부유키[阿部信行]는 한국의 민족지도자를 찾게 되었다. 이때 건국준비를 위한 민족의 대표기관과 정치세력 형성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던 여운형이 그에 동조함으로써 협상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미 1944년 8월 10일 비밀리에 '건국동맹'이 조직되었고 1945년 8월 15일 해방이 되었을 때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발족하였다. 사무실은 서울 풍문여자중학교에 두었고 위원장에 여운형(呂運亨), 부위원장에 안재홍(安在鴻)...2024.10.31
-
식민지근대화론 찬성2024.10.111. 식민지 근대화론의 논쟁 1.1. 식민지 근대화론의 주요 논점 식민지 근대화론의 주요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지 근대화론은 식민지 이전의 한국 사회를 전근대적 전통사회 혹은 비자본주의 사회로 규정하고, 한국사회가 식민지 지배를 통해 비로소 자본주의사회가 되었다고 본다. 그 근거로는 1910년의 토지조사사업으로 토지에서의 사적 소유권이 제도화된 점, 1930년대에 전개된 일제의 중공업정책, 농업부문에서의 이농과 식민지 공업화 정책으로 자유 임노동자 층이 확대 재생산된 점, 일제 강점기의 경제상에서 수탈이란 용어만으로 ...2024.10.11
-
해방전후 미국의 대한정책2024.12.111. 서론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 정책: 미국 주도의 그러나 한국 중심의 19세기 말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각축전과 더불어 20세기에 들어와서 일제의 식민지로 전략했던 우리 민족은 근대국가의 형성과 민족의 독립이라고 하는 민족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해오던 중 일제의 패망으로 2차대전의 종결과 함께 해방을 맞이하게 된다. 이로써 식민지의 유산을 청산하고, 자주적 민족독립과 민족적 자립경제의 달성을 이룰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하게 되었으나, 연합국에 의한 해방이라는 한계성 속에서 남북한에 각기 다른 체제를 지닌 미·소 양군...2024.12.11
-
분단 형성2024.10.171. 분단 체제의 형성과 강화 1.1. 민족 분단의 배경 일본의 패전 이후 한반도는 미국과 소련의 분할 점령으로 인해 민족 분단이라는 비극을 맞게 되었다. 일본의 식민 통치 기간 동안 한반도 민족은 강제동원, 토지수탈 등의 수난을 겪었으며, 해방 이후에도 외세에 의한 국토 분단으로 인해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어야 했다. 일본은 1904년 러일전쟁을 계기로 한반도를 식민지로 만들었고, 1937년 중일전쟁의 발발로 본격적인 침략전쟁을 시작했다. 이후 2차 세계대전 발발 당시 진주만 공격으로 미국을 전쟁에 끌어들였으나, 차차 패전의 ...2024.10.17
-
소련의 대한 정책과 북한 분단 질서 형성2024.12.101. 소련의 대한 정책과 북한에서의 분단 질서 형성, 1945~1946 1.1. 종전 이전 소련의 한국문제 인식과 정책 구상 1.2. 종전 이후 소련의 대한 정책 (1945. 8~12. 말) 8월 8일 소련의 선전포고 이후 만주의 일본 관동군은 예상회로 쉽게 패퇴하였으며, 소련군은 제1단계의 만주관동군 궤멸작전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한반도로 본격적으로 진출하였다. 그 진출의 한계선은 미국이 8월 15일 소련과 중국에 대해 동의를 구한 '일반명령 제 1호'에서 획정된다. '일반명령 제1호'는 일본군의 항복 접수에 관하여 중국·대만 ...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