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아동 요로감염 사례요약2024.10.0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세균성 질환의 하나로, 여아와 포경수술을 하지 않은 아동에서 발병이 잘 된다. 특히 포경수술을 하지 않은 3개월 이하 남아와 12개월 이하 여아가 가장 발병률이 높다. 이는 요로계의 해부학적 기형이 동반되면 재발하기 쉬우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고혈압 및 말기 신질환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소아에서의 요로감염은 연령이 어릴수록 요로계와 연관된 증상보다는 발열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을 보이며...2024.10.07
-
당뇨병성 신증2024.11.041. 당뇨병성 신증 1.1. 정의 당뇨병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신체의 작은 혈관들이 손상된다. 신장의 혈관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신장의 구성하는 기관 중 혈액 여과를 담당하고 있는 사구체가 손상되면서 단백뇨가 나타나고, 이로 인해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데, 이를 당뇨병성 신장질환이라고 한다. 당뇨병성 신장질환은 새로 투석을 시작하는 환자들의 원인 질환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당뇨 발병 시점이 분명하지 않은 대부분의 성인 환자에게서는 드러나는 질병 양상이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으며, 개개인의 혈당 조절, 혈압 조절 등 관리에...2024.11.04
-
만성신부전2024.09.281. 신장의 정의, 형태 및 구조 1.1. 신장의 정의 신장은 우리말로 "콩팥"이라고도 불리며, 좌우 양쪽에 하나씩 존재하는 장기이다. 신장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내어 소변으로 배출시키고 혈액 속의 전해질 농도를 조절하거나 혈압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신장은 신동맥을 통해 혈액이 들어오면 사구체라는 가는 모세혈관 다발을 거치면서 물과 전해질, 그리고 각종 노폐물을 보먼주머니 속으로 분비해 내고, 이렇게 만들어진 소변은 세뇨관을 지나 신우로 흘러들어가 요관을 거쳐 방광에 저장되었다가 요도를 통해 몸 밖으로 ...2024.09.28
-
배뇨장애2024.11.201. 신장(Kidney)의 해부·생리 1.1. 구조 신장은 한 쌍의 후복막장기로서 제 12흉추에서 제 3요추에 걸쳐 척추 좌우에 위치하는 완두콩 모양의 장기이다. 우신이 간 옆에 있어서 좌신보다 약간 낮게 위치하고 있으며 12번째 늑골의 높이에 있다. 각 신장의 무게는 115-175g 정도이다. 신장의 크기는 길이가 약 12cm, 폭이 5-7.5cm, 두께가 약 2.5cm 된다. 각 신장 주변에는 지방과 결합조직이 있어서 신장을 지지하고 외부충격을 흡수해 신장을 보호한다. 신장 내측에 움푹 들어간 곳을 신문(hilus)이라 하며...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