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흄 인간관2024.09.111. 철학자들의 다양한 인간관 1.1. 이성적 존재의 인간 1.1.1.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은 인간이 이성적 존재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플라톤의 관점에서 인간은 이성과 기계적 욕망을 가진 존재이며, 이성이 욕망을 잘 조절한다면 그 사람이 진정한 인간이 된다고 보았다. 또한 교육을 통해 인간은 이성적 수준까지 올라설 수 있지만, 육체를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완전한 자유를 누릴 수는 없는 한계를 가진다고 설명하였다. 즉, 플라톤은 인간이 현실에서 드러나는 모습이 아니라 이상적으로 달성해야 할 모습이 바로 이성적 존재라고 주장한 것...2024.09.11
-
칸트의 신2024.11.241. 신과 신 존재 증명 1.1. 칸트의 신 존재 증명에 대한 비판 1.1.1. 존재론적 증명에 대한 비판 칸트는 존재론적 증명을 분석적인 방법으로 신의 본질로부터 존재를 이끌어내는 방법으로 추론된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칸트는 당시 데카르트나 라이프니츠에 의해 주창된 바 있었던 이 존재론적 논증을 쓸데없는 것으로 비판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거의 모든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것들이 실제로 존재하는가하는 문제는 이와 별개이기 때문이다. 즉 실재성은 사태성과 같은 것을 뜻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주머니...2024.11.24
-
신은죽지않았다2024.09.091. 신의 존재와 증거 1.1.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방법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논의가 있다. 먼저 유신론자들은 신이 실재하다는 것을 입증하려고 노력해왔다. 대표적으로 토마스 아퀴나스의 '5가지 신의 존재 증명'이나 이사야 선지자의 "하늘과 땅을 보라, 누가 이것들을 창조하였느냐"와 같은 방식이다. 이들은 자연계의 모습이나 인간의 상호 작용, 우주의 질서 등에서 신의 존재를 추론하고자 했다. 반면 무신론자들은 이러한 논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자연계의 모습이나 우주의 질서가 꼭 신의 존재를 증명하지는 않...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