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성경이야기와 구원드라마 요약2024.09.251. 구원의 보장과 탈락 1.1. 들어가는 말 이 주제는 교단마다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교단의 분열에는 정치적 문제가 포함되어 있지만, 조직신학적 측면에서 보면 구원론에 관한 갈등이 가장 첨예하지 않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구원의 보장과 탈락, 모두 가능한 이야기다. 무슨 말인가? 나는 내 구원이 탈락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지금 나는 구원의 확신과 안정감을 갖고 있다. 이 주제는 사전 설명을 필요로 한다. 구원이라는 주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종말론과 아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님 나라의 개념과도 연...2024.09.25
-
공관복음으로의 여행2024.10.121. 누가복음 어떻게 읽을 것인가 1.1. 소개 누가복음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의 소개는 다음과 같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4권의 복음서를 주셨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사역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볼 수 있게 우리에게 주신 은혜이다. 각자 다른 저자의 시각으로 바라 본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 사역에 대하여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그 중 누가 복음은 소외 된 자들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의 소식이다. 신현우 『누가복음 어떻게 읽을 것인가』를 통하여 누가복음에 대하여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저자는 서울대학교 철학과와 총신...2024.10.12
-
마가복음 14장22~26절의 성경의 본문으로 20분정도의 설교문을 작성해줘2024.10.211.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 1.1. 그리스도 '그리스도'(χριστός)라는 그리스말은 직접적으로 아람어 '메시아'를 옮긴 것이다. 이 용어의 뜻은 '기름부음 받은 이'이다. 메시아는 좁은 의미에서 이스라엘을 원수들로부터 해방하여 평화의 왕국을 재건할 '종말론적 구원의 왕'을 가리킨다. 넓은 의미에서는 종말에 관련된 다양한 기대를 나타내며 '메시아적인 예언자' 또는 '메시아적인 선지자'와 같은 의미이다. 구약에서 신약에 이르는 시대의 전환기에 일반적으로 메시아기대가 왕성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시기에 비로소 메시아적 존...2024.10.21
-
교회2024.08.301. 교회론의 개관 1.1. 서 론 교회론의 연구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경외심을 더욱 깊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회는 하나님께서 구약에서부터 신약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백성을 부르시어 세우신 역사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구약에서는 에덴동산의 교회, 노아의 방주 교회, 광야의 교회, 다윗의 왕국 등으로, 신약에서는 그리스도의 교회로 이어지는 하나님의 백성 공동체가 지속되어 왔다. 이처럼 교회는 하나님께서 역사적으로 불러모아 세우신 백성의 공동체이자,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과 통치를 경험하는 거룩한 공동체이다. 교회...2024.08.30
-
현대인을 위한 신약개론2025.03.111. 서론 1.1. 현대인을 위한 신약개론 마크 알란 포웰의 현대인을 위한 신약개론은 학자들의 이름을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독자 친화적이다. 이는 저자가 독자들에게 최대한 친근하게 다가가고자 함으로써 거부감을 최소화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이 책은 각 장 하단과 부록에 용어해설을 제공하고 다수의 도표를 활용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저자는 간결하고 명확한 문체로 복잡한 신학적 논의들을 알기 쉽게 전달하고 있다. 이 책은 객관적인 입장을 고수하여 최종 판단을 독자에게 맡기고 있다. 저자는 신학적 문제에 대한 여...2025.03.11
-
어성경2024.09.051. 성경 읽기와 이해 1.1. 성경의 정경화 과정과 배열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성경은 여러 권의 책이 모여 만들어진 것이다. 본래는 한 개씩 따로 있던 두루마리가 어느 계기에 합본이 된 것이다. 성경의 정경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BC587년 구약시대 유대국가가 바벨론에 의해 멸망하였다. 이후 페르시아(바사)가 바벨론을 정복하였고, 그리스의 알렉산더 대왕이 유다 땅을 정복하였다. 알렉산더 대왕의 죽음 후 그의 부하들 중 프톨레미가 이집트와 시리아 일대를 차지하였고, 유대 땅도 프톨레미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BC3세기 말,...2024.09.05
-
장로의 직분와 예식서 종교개혁이후 칼빈2025.04.011. 장로의 직분과 예식서 1.1. 구약성경에서의 장로직 구약성경에서 장로직은 백성을 이끄는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모세오경에 장로라는 용어가 절반 이상 사용될 정도로 구약에서 장로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장로들은 종종 통치자들과 함께 통치기구를 구성하였으며, 민의를 수렴하는 의회제도의 모형으로 기능하였다. 또한 시행정과 관련된 자치기구의 대의원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처럼 구약시대의 장로직은 백성을 대표하는 지도자로서의 지위와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1.2. 신약성경에서의 장로직 신약성경에서 장로직은 초대교회...2025.04.01
-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 교리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확정되었으며 왜 중요한지를 설명하시오2025.04.081.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 교리 1.1. 양성 교리의 발전 과정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 교리는 오랜 기간에 걸쳐 발전해왔다. 초대 교회 시대부터 이 교리의 뿌리가 있었으며, 신약성경의 여러 증거들을 통해 그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후 교회 공회와 신학자들의 활발한 논의를 거치면서 점차 체계화되어 왔다. 초대 교회에서는 예수님이 하나님과 동등하신 분이라는 신념이 존재했다. 신약성경 기록들은 예수님의 신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삼위일체 교리와 관련하여 예수님의 위격적 지위를 드러내고 있다. 사도 요한은 예수님을 '말씀이 육신이 되어'라...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