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신생아 호흡기계 사정과 신생아 소생술2024.10.071. 신생아의 호흡기계 사정 1.1. 자궁내 호흡 억제 자궁내 호흡 억제는 자궁 환경에서 태아의 호흡이 억제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태아는 자궁 내에서 대부분의 시간 동안 호흡 운동을 하지 않고 있으며, 간혹 있는 호흡 운동도 호흡 억제 기전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이는 자궁 내에서 태아가 필요로 하는 산소를 모체로부터 공급받기 때문이다. 태아는 아직 폐 발달이 완전하지 않고 폐혈관 저항이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태아의 호흡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궁 내 태아의 호흡은 주로 간헐적이고 미약한 수준에 그치며, 본...2024.10.07
-
신생아 소생술2024.11.021. 신생아 소생술의 개요 1.1. 신생아 소생술의 필요성 전 세계적으로 매년 4백만 명 정도의 신생아 사망의 23%가 신생아 질식사에 의한 사망으로, 대부분의 신생아들은 건강하게 태어나기에 소생술이 필요 없지만, 약 10%정도의 신생아들에게는 어느 정도의 도움이 필요하며, 약 1%는 집중적인(intubation, chest compression and medication) 소생술이 필요로 한다. 그러하기에 이들이 양호한 경과를 가질 수 있도록 분만실, 신생아실, 신생아집중치료실 종사들에게는 신생아 소생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충분...2024.11.02
-
nrp2024.08.171. 서론 1.1. 신생아 소생술의 필요성 신생아 소생술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출생 직후 일부 신생아에게는 호흡곤란, 낮은 심박수, 근 긴장도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신속한 처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신생아가 적절한 시간 내에 적절한 소생술을 받지 못하면 뇌손상, 다장기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생아 소생술은 신생아의 생명을 구하고 장기적인 후유증을 예방하는데 필수적이다. 더욱이 미숙아의 경우 폐 미성숙, 저체온증 등의 문제가 있어 만삭아에 비해 소생술의 필요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2024.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