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7개
-
중환자실 crrt 케이스2024.09.091. 급성 신손상 환자의 간호 1.1. 사례 확인 및 병력 수집 대상자는 70세 여성 환자로, 10일 전부터 잘 걷지 못하고 3일 전부터 손과 발에 부종이 있어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2주 전부터 허리와 전신 통증으로 덱시부펜(dexibuprofen)과 페인엔젤(ibuprofen)을 복용해왔고, 10일 전부터 활력이 떨어지다가 7일 전부터는 부축없이는 걸을 수 없었다고 한다. 내원 전일에는 물에 식사한 밥 두 숟가락 정도만 섭취했다고 한다. 환자는 고혈압 기저질환이 있었다. 입원 당시 의식은 drowsy 상태였고, 혈압이 90/...2024.09.09
-
투석 컨퍼런스2025.01.201. 서론 1.1. 투석 컨퍼런스 개요 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를 위한 중요한 신대체요법 중 하나이다. 투석 컨퍼런스에서는 투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관리를 목적으로 한다. 신장의 구조와 기능, 신부전의 종류와 원인, 투석요법의 종류와 특성, 투석 환자 간호, 합병증 관리, 식이 요법, 약물 요법 등 투석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투석 환자의 효과적인 관리와 합병증 예방을 위해 다양한 최신 치료법과 간호 기법을 소개하며, 환자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투석 방법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투석 환자의 건강 관리...2025.01.20
-
성인간호 혈액투석 원리 분석2025.01.211. 서론 1.1. 혈액투석의 정의와 목적 혈액 투석이란 환자의 혈액을 몸 밖으로 빼내어 기계와 투석기를 이용해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제거해 주는 치료 방법이다. 이는 가장 보편적이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신 대체요법이다. 일반적으로 혈액 투석 치료는 일주일에 3차례, 한 차례 당 4시간씩 받게 되며, 환자의 남아있는 신기능 및 환자 상태를 고려하여 투석 시간 및 횟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투석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동정맥루 성형술'이 필요한데 이는 팔의 동맥과 정맥을 연결해 주는 작은 수술을 통해 정맥을 확장시키는...2025.01.21
-
전립선비대증 간호진단2024.10.031. 양성 전립선 비대증 1.1. 정의 전립선 비대증은 전립선 촉진 또는 경직장초음파검사에서 전립선의 크기가 증가한 양성전립선비대를 말한다. 병리학적으로는 전립선 간질이나 상피세포의 증식 소견으로 진단하게 된다. 40세 이상의 남성 중 일부는 전립선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 : BPH)인 조직학적인 전립선의 증식을 보이며, 이들 중 일부는 하부요로증상(LUTS)을 호소하고, 요역동학 검사(urodynamic)에서 방광내압의 증가와 배뇨속도의 감소를 동시에 보이는 방광출수폐색(Bladder Outle...2024.10.03
-
전해질불균형 간호과정 부종2024.10.251. 체액과 전해질 1.1. 체액과 전해질 생리 체액과 전해질은 생명 유지에 기본적인 요소이다. 성인 체중의 약 60%, 영아 체중의 약 70%를 차지한다. 체액은 크게 세포 내액과 세포 외액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구성 및 기능이 다르다. 세포 내액(intracellular fluids, ICF)은 세포 내에 존재하며, 총 체액의 2/3, 체중의 40%를 차지한다. 세포 내액은 세포의 화학적 기능이 일어나게 한다. 주요 전해질로는 칼륨(K+), 마그네슘(Mg2+), 인산(HPO4 2-)이 있다. 세포 외액(extracell...2024.10.25
-
다발골수종 출혈위험성2024.10.301.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1.1. 정의 및 특징 다발성 골수종은 골수에서 면역체계를 담당하는 백혈구의 한 종류인 형질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분화, 증식하여 발생하는 혈액암이다. 이 비정상적인 형질세포를 골수종세포라고 부르며, 이 세포들이 골수를 침범하여 뼈를 녹이고 종양을 만든다. 또한 비정상적인 형질세포에서 M-단백이라는 단백질이 과다 생산되어 혈액을 진하게 만들어 신장 기능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다발성 골수종은 주로 50세 이상에서 발생하며,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난다. 이 암은 골수를 침...2024.10.30
-
기본간호학 배뇨 문제2024.12.021. 배뇨와 배변 장애 사례 분석 1.1. 사례 1: 요정체 문제 1.1.1. 대상자 정보 및 주요 문제 김정체님(40세/여)은 자궁경부암(uterine cervical cancer)으로 인한 전자궁적출술(total hysterectomy) 수술 후 유치도뇨관 제거 후에도 소변을 배출하지 못하는 요정체 문제를 겪고 있다. 대상자는 방광팽만으로 두 차례의 단순도뇨를 실시했음에도 8시간이 지나도록 자연 배뇨가 어려운 상태이며, 하복부 촉진 시 복부팽만이 관찰되어 유치도뇨관을 재삽입하였다. 현재 유치도뇨관을 삽입한지 2일째이며 배뇨문...2024.12.02
-
만성신부전2024.11.171. 신장의 정의와 구조 1.1. 신장의 정의 신장은 우리말로 "콩팥"이라고도 불리며, 좌우 양쪽에 하나씩 존재한다. 신장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내어 소변으로 배출시키고 혈액 속의 전해질 농도를 조절하거나 혈압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신동맥을 통해 신장 속으로 들어온 혈액은 사구체라는 가는 모세혈관 다발을 거치면서 물과 전해질, 그리고 각종 노폐물을 보먼주머니 속으로 분비해 낸다. 이렇게 만들어진 소변은 세뇨관을 지나 신우로 흘러들어가고, 신우에 모인 소변은 요관를 거쳐 방광에 저장되었다가 요도를 따라 몸...2024.11.17
-
인공신장실 임상 실습개요 및 목표2024.08.161. 서론 1.1. 혈액투석 환자 관리의 중요성 혈액투석 환자 관리의 중요성이다. 혈액투석은 1960년대부터 만성신부전의 신대체요법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노인 인구의 증가로 신장 질환의 주요 원인인 당뇨병과 고혈압 환자가 늘고 있어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한신장학회의 발표에 따르면 2018년 혈액투석 환자 수는 9만 901명으로 2014년 대비 22.8% 증가했다.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대부분은 매회 4~5시간씩 일주일에 2~3회 혹은 그 이상으로 투석을 받는다. 이처럼 혈액투석은 만성 신부전 환자의 생활...2024.08.16
-
패혈증 쇼크 성인실습 케이스 스터디2024.11.021. 자료수집 1.1. 현병력 본 환자는 요양병원에 계시던 분으로 2022년 5월 13일부터 복통, 설사, 발열 증상을 호소하여 응급실을 통해 본원에 입원하였다. 입원 당시 환자는 복통, 반복적인 설사, 발열 등의 주증상을 보였다. 최근 1주일 전부터 발열과 복부의 염증이 관찰되었고, 이를 포함한 전반적인 증상으로 인해 본원 신경외과 병동으로 전원되었다. 입원 전 환자는 요양병원에 입원하고 있었으며, 2일 전부터 위와 같은 증상이 발현되어 응급실로 내원하게 되었다고 한다. 본원 입원 후 시행한 검사 결과 복부 CT 상 급성 담낭염...2024.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