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인성검사2024.11.081. 다면적 인성검사의 해석 절차 1.1. 서론 다면적 인성검사라고 하는 것은 개인의 성격과 정서 그리고 적응 수준에 대해서 다차원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이 된 것이며, 자기보고 형 성향 검사라고 말할 수 있다. 투사 검사와 비교하면 체계적인 해석의 절차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는 매우 객관적인 성격검사라고 말할 수 있다. 이를 우리는 MMPI라고 부르고 있으며, 해당 MMPI에는 여러 가지 종류들이 있다. 먼저, MMPI-2라고 하는 것은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으며, 문제는 총 567문항으로 구성...2024.11.08
-
교육적 및 상담적 접근 과정에서의 특수아동 상태 진단도구인 심리검사의 장점과 한계점2024.08.131. 서론 특수아동은 신체적, 정신적, 행동적 수행이 평균에서 이탈되어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장애 위험을 지녀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를 이야기한다. 특정 영역에서 대부분 일반적인 아동과 다른 모습을 보이며 특별한 교육적 요구에 따라 특별한 교육적 서비스를 통해 인간으로서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특별한 도움이 필요하다. 특수아동에 대한 접근은 교육적 접근, 상담치료적 접근, 복지적 접근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레포트에서는 교육적 접근과 상담치료적 접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심리검사라는 요소를 매개로 알...2024.08.13
-
한국형발달선별검사 신체발달 건강2024.12.101.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DST) 1.1. K-DST 개요 1.1.1. 정의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DST)'는 아동 발달 능력에 대한 추가진단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는 도구로 영유아 건강검진에 해당된다. 대한민국 영유아들이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 인지, 언어, 사회성, 자조(18개월 이후) 등의 능력이 잘 발달 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지원 하에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이 개발한 선별 검사이다. 1.1.2. 개발 배경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발달검사 중 상당수는 외국의 검사를 표준...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