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만성신부전 낙상위험 간호진단2024.09.151. 만성신부전 1.1. 신장의 해부학적 위치와 기능 신장은 등 쪽으로 12번째 흉추에서 시작해 아래로 첫 번째, 두 번째, 그리고 세 번째 요추에 걸쳐 오른쪽과 왼쪽에 5cm 정도 떨어져 자리 잡고 있는 주먹만한 한 쌍의 장기이다. 실제 크기는 위아래로 12cm, 좌우로 5cm, 두께가 4cm 정도 되며 둘을 합하면 무게가 300g정도이다. 신장은 체내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체내의 수분균형을 유지하며, 혈압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고, 성장을 조절하는 비타민을 합성하며, 적혈구의 생성을 조절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2024.09.15
-
응급검사 종류 및 목적 정상치 결과2024.11.251. 응급검사 1.1. 일반화학검사 1.1.1. 목적 일반화학검사는 자동화학분석기를 주로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전산으로 임상에 제공하며, 그 외에 전해질검사와 Pyruviate kinase, G-6PDH 등의 수기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지질 관련 특수 검사 및 낭포성 섬유증 환자의 진단을 위한 땀유발 염소 농도 검사도 시행하고, 간기능 검사, 신기능 검사, 폐기능 검사 등에 관련된 검사도 수행한다. 1.1.2. 종류 일반화학검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자동화학분석기를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전...2024.11.25
-
고혈압성 위기 간호진단2024.09.051. 고혈압 개요 1.1. 정의 및 분류 고혈압은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으로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정상혈압은 120/80mmHg 미만, 고혈압 전 단계는 120~139/80~89mmHg, 고혈압은 140/90mmHg 이상으로 정의된다. 혈압이 높을수록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신장 및 말초혈관병변 유발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50세 이상에서 수축기압이 140mmHg 이상으로 높으면 심혈관계 질환에 이환될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압은 크게 수축기고혈압과 이완기고혈압으로 ...2024.09.05
-
신부전으로 인한 고혈압의 간호진단 찾아줘2024.09.071. 만성 신부전 1.1. 정의 및 원인 만성 신부전은 신기능이 감소하여 정상으로 회복될 수 없는 단계의 질환을 의미한다. 즉, 신장이 제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남아 있는 신장 기능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저하되어 결국은 신 대체 요법(투석이나 신이식술)이 필요한 말기 신 질환으로 진행한다. 성인 만성 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으로, 최근 그 비중이 점차 증가하여 50% 정도까지 차지한다. 그 외에 고혈압, 사구체 신염, 다낭성 신장 등의 순서로 많이 나타난다. 1.2. 진단 만성 신부전의 진단은 다음...2024.09.07
-
CBC항목2024.09.021. 간호 진단과 중재 1.1. 암환자의 영양 평가 1.1.1. 관찰 항목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해야 할 항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의 식욕부진, 구토, 메스꺼움, 설사, 통증, 구강건조, 맛과 냄새의 변화와 같은 소화기 증상을 관찰해야 한다. 이러한 소화기 증상은 암환자의 섭취량 감소와 영양상태 저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환자의 신체적 외관, 즉 피하지방 소실, 근육 소모, 부종, 복수, 탈수 등을 관찰해야 한다. 이를 통해 암환자의 영양상태 저하 정도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2024.09.02
-
급성사구체신염 간호진단2024.09.091. 급성 사구체신염의 정의와 특징 1.1. 정의 급성 사구체신염은 염증이 혈액을 여과하는 사구체에 급성으로 발생하는 질병이다. 이러한 급성 사구체신염은 감염 후 사구체신염과 감염성 사구체신염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포도상구균 감염 후 발생하는 감염 후 급성 사구체신염이 가장 흔한 형태이다. 급성 사구체신염은 아동기에 나타나는 신질환 중에서 가장 흔하며 6~7세에 발병률이 가장 높으며 남아가 여아보다 2배로 많이 발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1.2. 발병 특징 급성 사구체신염은 대개 연쇄상구균 감염 후 5~21일 경과하여 발병하...2024.09.09
-
중환자실 crrt 케이스2024.09.091. 급성 신손상 환자의 간호 1.1. 사례 확인 및 병력 수집 대상자는 70세 여성 환자로, 10일 전부터 잘 걷지 못하고 3일 전부터 손과 발에 부종이 있어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2주 전부터 허리와 전신 통증으로 덱시부펜(dexibuprofen)과 페인엔젤(ibuprofen)을 복용해왔고, 10일 전부터 활력이 떨어지다가 7일 전부터는 부축없이는 걸을 수 없었다고 한다. 내원 전일에는 물에 식사한 밥 두 숟가락 정도만 섭취했다고 한다. 환자는 고혈압 기저질환이 있었다. 입원 당시 의식은 drowsy 상태였고, 혈압이 90/...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