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단순발치 과정2024.10.241. 단순발치와 난발치의 과정 1.1. 단순발치 단순발치는 치아 발거 시 골을 제거하거나 절단하지 않고, 겸자 또는 기자만으로 치조와에서 발거하는 술식이다. 단순발치 시 사용되는 기구 및 재료로는 기본기구, 소독제(클로르헥시딘, 포비돈요오드제), 세정용 주사기, 생리식염수, 소독용 면구, 멸균거즈, 마취주사기, 주사침, 국소마취제, 외과용 큐렛, 발치겸자, 발치기자, 흡입관 등이 있다." 단순발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아 상태를 확인하고 치료 계획을 성립한다. 둘째, 발치 전 해당 치아 주위를 청결하게 하여 2차 감염의...2024.10.24
-
치위생 실습일지2024.09.281. 신경치료법(Endodontic Treatment) 1.1. 신경치료란? 치아 내부에는 신경, 혈관 가지 조직(치수)이 있다. 치아에 심한 충치나 외상을 받은 경우 박테리아 등에 의해 치아 내부의 치수가 염증을 일으키게 되고 이것이 방치되면 치수가 죽게 된다. 신경치료는 감염된 조직을 확실히 제거하고, 깨끗하게 소독하며, 신경관 안을 생체친화성이 우수한 재료와 단단한 물질로 채우는 과정이다. 신경관은 반듯한 형태가 아니라 울퉁불퉁하고 불규칙적으로 수많은 작은 공간이 있기 때문에 세균의 완벽한 제거는 쉽지 않으며, 보통 3-4번...2024.09.28
-
임시치간만들기2024.10.201. 치과 보철 치료 1.1. 단일치 수복물 1.1.1. 금속관 금속관은 심미적 기대를 하지 않는 구치부 수복 시 치관 외면 전부를 금속으로 피개하는 금관이다. 주조(casting)를 통해 제작되며, 대부분 2개 이상의 순금속이 혼합된 합금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임상에서는 금(Au)이 함유된 귀금속 금관은 gold crown, 금이 함유되지 않은 금관은 metal crown이라고 부른다. 금속관의 장점은 도재관에 비해 치질 삭제량이 적고 강도가 높아 잘 파절되지 않으며, 치경부의 적합도가 좋다. 단점으로는 심미성이 불리하여 ...2024.10.20
-
치위생 술식2025.02.091. 임상 치과진료술식에 관한 내용 1.1. 신경치료 신경치료는 병적상태의 치수와 세균을 기계화학적방법으로 최대한 제거하고 근관내부를 긴밀하게 폐쇄함으로써 근관내부와 외부조직과의 교통을 차단하는 술식이다. 신경치료는 감염된 신경조직으로 인해 통증이 있거나 온도에 민감해진 치아를, 빼지 않고 치아를 살리기위한 거의 마지막 술식이다. 신경치료의 적응증은 보철치료 과정에서의 근관치료, 치주적인 문제로 인한 근관치료, 구강외과 수술과 관련한 근관치료, 전신 질환자의 치통 조절과 근관치료, 비가역적 치수염, 치수괴사, 우식교모, 침식증,...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