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종양전문대학원 입학 동기2024.10.031. 간호의 역사 1.1. 중세 전반기 간호 1.1.1. 중세병원 중세병원은 유럽에서 근대적인 병원의 모태가 되었던 곳으로, 특히 리옹의 호텔 듀, 파리의 호텔 듀, 로마의 산토스피리토 병원이 유명했다. 이들 병원들은 성 어거스틴의 규칙을 적용하여 운영되었으며, 어거스틴 수녀회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중세 병원들은 환자 치료와 돌봄의 기능뿐만 아니라 종교적 의식도 함께 수행하였다. 병원 건물은 성당을 중심으로 배치되었고, 수도사나 수녀들이 환자 돌봄과 간호 업무를 담당하였다. 특히 "병자를 돌보는 것은 모든 일에 우선해야 ...2024.10.03
-
soapie2024.11.0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정상압 수두증은 뇌 안을 흐르고 있는 뇌척수액의 흐름이 막힘으로써 뇌실 안에 뇌척수액이 점차 많이 고이게 됨으로써 발생한다. 또한 뇌막염이나 뇌염, 두부손상 등의 후유증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이 병의 증상으로는 두통, 치매, 소변장애, 보행장애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상압 수두증은 조기에 발견되어 치료를 하면 뇌에서부터 뇌척수액을 다른 곳으로 흐르게 만드는 아주 간단한 수술로도 완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치료 받지 않는 대부분의 환자에게서는 증세의 악화를 보여 결국은 자리에 누워서 지내...2024.11.05
-
의학용어 약어2024.10.271. 산과 관련 의학용어 및 약어 1.1. 분만과 관련된 용어 분만은 태아가 자궁 밖으로 태어나는 과정으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가 존재한다. 먼저 "delivery"는 분만을 의미하며, "labor"는 진통을 말한다. "premature labor"는 조기 진통을 뜻한다. "fetal lie"는 태아의 위치를, "fetal attitude"는 태아의 자세를, "fetal presentation"은 태아의 자세 배열을 나타낸다. "position"은 태아의 방향을 의미하고, "cervical effacement"는 경부의 거상...2024.10.27
-
신경외과 수술2024.10.211. 신경외과 수술 1.1. 두개수술 1.1.1. 두개절제술(Craniectomy) 두개절제술(Craniectomy)은 두개골 뼈의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이다. 이 수술은 주로 종양, 혈종, 상흔, 뼈의 감염을 제거하거나 유아의 조기 두개골 유합증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된다. 또한 뼈에 눌리거나 내부 출혈로 인한 뇌의 압박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도 실시한다. 수술 방법은 하나 이상의 burr hole이나 twist drill holes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는다. burr hole은 특수한 추를 사용하여 두개골에 작은 구멍을 뚫는 것이...2024.10.21
-
신경외과 의학용어2024.10.251. 신경외과 의학용어 1.1. 구조 및 기능 cranium은 두개골을 의미한다. 두개골은 안뇌와 외뇌를 보호하는 골격으로, 안뇌를 이루는 두골(두개골)은 관골, 측두골, 접형골, 이하악골, 비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뇌를 이루는 두골(두개골)은 전두골, 두정골, 후두골, 접형골, 사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개골은 이들 두골들이 융합되어 이루어진 구조물이다. meninges는 뇌와 척수를 덮고 있는 막을 의미한다. 뇌와 척수를 보호하는 이 막은 세 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바깥쪽부터 경막(dura mater), 지주막(a...2024.10.25
-
성인간호 기관지확장증 정리2024.10.171. 서론 1.1. 사례 선정 이유 신경외과에서는 주로 뇌, 척수와 관련된 질병을 다루고 있다. 그 중에서도 우리의 뇌는 한 번 손상되면 다시 회복되지 못할뿐만 아니라 우리의 신체 부분 중에서도 우리는 뇌를 중심이라고 할 정도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들이 근접해 있는 환경에는 뇌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성이 존재한다. 사람들은 오랜 질병을 방치하거나 급작스런 사고로 인해 뇌의 손상을 입게 된다. ICH는 뇌내출혈로 출혈의 양에 따라 앞으로의 임상 결과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질환이다. 현대인에게 늘어...2024.10.17
-
케이스스터디 T-SDH 외상성경막하혈종 간호진단2024.11.221. 서론 1.1. 실습영역 실습영역은 신경계(NS)이며, 신경과와 신경외과로 구성되어 있다. 신경과는 신경학적인 증상을 주로 진료하는 과로, 뇌의 기질적 이상을 말하는 것으로 편측마비, 감각의 이상, 경련, 몸이 굳거나 떨리는 증상 등을 다룬다. 진료 질환으로는 뇌졸중, 뇌허혈에 의한 경색, 뇌출혈, 척수질환, 통증, 파킨슨병 및 이상운동질환 등이 있다. 신경외과는 외과라는 명칭이 붙으면 기본적으로 수술과 연관될 수 있으며, 뇌와 척수, 뇌 신경과 척수신경, 말초신경 등의 신경계에서 생기는 다양한 질환들에 대해 수술적인 치료를 ...2024.11.22
-
수술실 SDH 케이스2024.09.061. 서론 1.1. 수술실 실습 경험 수술실 실습 경험은 성모병원 수술실에서 진행하였으며, 그중 신경외과 파트에서 다양한 신경외과 질환과 관련된 수술들을 참관할 수 있었다"" 이런 뇌는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이자 생명의 모든 기능을 조정하는 사령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두부외상이 전체 사망자 수의 3%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업재해 사고에서도 5.2~6.2%를 점유하고 있는 만큼 두부외상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두부외상 중 경막하 혈종은 경막과 지주막 사이의 공간에 체액, 혈액, 분비물이 축적되는...2024.09.06
-
간호교직 실습일지2024.09.031. 실습일지 1.1. 입퇴원 현황 및 진단명 입원 환자들의 주요 진단명은 다음과 같다. 서00 환자는 C1-2 instability로 제1~2경추부위의 불안정성을 보였고, 조00 환자는 L4-5 ruptured HNP(Herniated Nucleus Pulposus)로 제4~5요추부위의 파열된 추간판 탈출증을 겪고 있었다. 김00 환자는 AEDH(Acute Epidural Hematoma)로 급성 경막외 혈종 증상을 보였고, 김00 환자는 HDC(Hydrocephalus)로 수두증 진단을 받았다. 김00 환자는 UTI(Urina...2024.09.03
-
신경외과 약어2025.02.101. 서 론 신경외과(신경과)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 분야이다. 이 분야에는 다양한 질환들이 포함되며, 이들 질환의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법 선택을 위해 필수적인 의학용어와 약어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신경외과(신경과)와 관련된 주요 용어와 약어들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경외과(신경과) 분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향후 관련 연구와 진료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2. 신경외과(신경과) 필수의학용어 및 약어 2.1. 일반용어 ADH...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