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안쪽 복사 골절2024.09.151. 복사뼈(Malleolus) 골절 1.1. 정의 복사뼈(Malleolus)란 발목 양쪽의 튀어나온 부위로 정강뼈(tibia) 아래쪽 끝부분이 안쪽복사(medial malleolus)이고, 종아리뼈(fibula) 아래쪽 끝부분이 가쪽복사(lateral malleolus)로 되어있다. 1.2. 분류 복사뼈 골절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안정골절(stable fracture)과 불안정골절(unstable fracture)로 나눌 수 있다. 안정골절은 관절의 한쪽 면만 손상된 경우이며, 불안정골절은 발목의 양쪽이 모두 손상된 경우이다...2024.09.15
-
말초신경병증2024.09.201.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과 하지불안증후군 1.1. 하지불안증후군의 유병률과 특징 하지불안증후군은 감각운동 신경계 질환으로 외국에서 7.2-11.5%의 유병률을 보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약 7.5%의 유병률을 보이는 드물지 않은 질환이다. 하지불안증후군은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과 함께 다리가 불편하거나 불쾌한 느낌을 동반하며, 움직이고 싶은 충동 및 불쾌감은 가만히 있을 때 시작되거나 더 악화되며, 움직이면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완화되고, 낮보다는 저녁 및 밤에 악화되거나 단지 저녁, 밤에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리에...2024.09.20
-
경추골절2024.09.251. 정의 1.1. 경추골절 경추골절은 경추 제1번부터 제7번까지의 골절을 의미하는 것으로, 척추는 목에 있는 경추와 등에 있는 흉추, 허리에 있는 요추, 골반에 있는 천추와 미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경추는 골격과 인대의 복합체로서 구조가 복잡하고 동역학적으로도 특이하기 때문에 손상될 경우 흉추나 요추와는 다른 독특한 양상을 보인다. 경추 중에서 특히 제1경추(환추)와 제2경추(축추)는 다른 경추와는 달리 독특한 모양과 기능을 가지고 있어 치료 방법에 차이가 있다. 제1경추는 두개골과 척추를 연결하는 반지처럼 둥근 원 모양의...2024.09.25
-
Ⅰ, Ⅱ, Ⅲ osteotomy2024.10.011. 수술 및 치료 1.1. Acromioplasty(+RC repair) 1.1.1. Acromioplasty Acromioplasty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어깨뼈봉우리(견봉, acromion)의 아랫부분 2-3mm를 깎아 평탄화시키는 수술이다. 이는 상완골과 과도하게 자란 견봉돌기가 부딪히며 통증 및 염증이 나타나는 어깨 충돌증후군 환자들에게 시행된다. 이 수술은 구멍을 하나 뚫고 내시경으로 들어가 견봉돌기를 절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정식 명칭은 "A/S Acromioplasty 내시경적 견봉성형술"이다. 이는 피부...2024.10.01
-
경추손상 사례 연구 및 간호과정2024.11.0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요즘 교통사고나 추락사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척수 손상으로 장애를 갖게 되는 사람들이 증가되고 있다"이다. 실제로 뇌로부터의 신경전달, 뇌로 신경을 보내는 신체 유일한 척수가 손상된다는 것은 큰 문제일 수 있다. 특히 경추는 골격과 인대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다른 요추나 경추의 손상보다 더 독특하면서도 큰 문제 일수 있는데, 척수는 중추 신경계로서 척추의 골절이나 탈구가 일어날 때 손상이 되면 회복이 어렵고 마비가 쉽고 운동장애가 오기 때문에 평생 동안의 회복이 어려우며 사회생활 또한...2024.11.01
-
허리골절 간호과정2024.10.22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압박골절(Compression fracture)은 뼈가 압력을 받아서 골절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주로 척추에 많이 발생한다. 현재 아동부터 노인까지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원인으로 앓고 있는 질병으로 간단한 보존적 치료부터 수술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가 되고 있다. 척추압박골절이 발병하게 되면 등과 허리에 심각한 통증이 나타나 돌아눕기와 자리에서 일어나 걷기가 힘들어져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게 된다. 골절에 대한 치료나 간호,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 파악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써 진...2024.10.22
-
척수염질병보고서2024.10.221. 척수병증(Myelopathy) 1.1. 정의 척수는 길이가 41~45cm에 이르는 긴 구조물로 운동신경, 감각신경, 자율신경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척수에 질병이 발생하여 운동신경, 감각신경, 자율신경 장애가 나타나는 것을 모두 통틀어서 척수병증(myelopathy)이라고 한다. 척수병증은 척수에 생기는 다양한 질병들의 총칭으로, 척수에 발생하는 병적인 변화로 인해 척수를 지나가는 신경섬유들이 손상을 받아 운동, 감각, 자율신경 기능장애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1.2. 구조 척수는 길이가 41~45cm에 이르는 긴 구조...2024.10.22
-
해부생리학문제2024.11.231. 뇌기능장애 1.1. 신경계 해부생리 1.1.1. 뇌와 척수발달 신생아의 천문은 출생 시 아직 완전히 발달되지 않아 골절 위험이 높다"" 인데 이는 두개골이 잘 발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생하기 때문이다"" 출생 시 뇌에는 많은 혈관이 분포되어 있어 혈관 손상으로 출혈 위험이 크며, 특히 조산아일수록 뇌 손상의 위험이 더 높다"" 신생아의 척수는 유동적이고 경추 부분이 움직이기 쉬워 경추 손상의 위험성이 높다"" 1.1.2. 중추신경계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된다""중추신경계는 두개골과 척추관 내에 위치하여 외부의 충격으...2024.11.23
-
요추골절 케이스2025.01.091. 서론 1.1. 연구 목적 요추압박골절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회복할 수 있도록 질병의 전반적인 부분에 대한 이론 및 실제 적용과정을 관찰하고 간호사정-진단-계획-수행-평가 하는 과정을 거쳐 대상자에게 적합한 체계적인 간호를 실시하여 대상자가 편안함을 고취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1.2. 문헌고찰 1.2.1. 요추압박골절의 정의 요추압박골절(Compression Fracture of Lumbar Spine)은 척추의 허리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뼈가 외부의 강력한 힘이나 급격한 회전운동 때문에 부러지거나 금이...2025.01.09
-
아동 간호학 길랑바레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2025.02.0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길랑-바레 증후군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발생 빈도는 다양하나 인구 10만 명당 1~4명의 빈도로 발병하는 매우 희귀한 질병이다. 그러나 실제 임상 현장에서 이러한 희귀 질병의 증례를 접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과 진단, 치료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희귀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유사한 증례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2.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은 길랑-바...2025.02.05